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05

버섯종균기능사 1회 1번. 배지 살균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사용하는 배지병 종류에 따라 살균시간을 다르게 한다. ② 배지를 입병한 후 가능한 한 신속히 살균을 시작한다. ③ 살균 중에 배기밸브를 조금씩 열어 수증기와 함께 혼입되는 공기를 제거한다. ④ 살균이 끝나면 배기밸브를 열어 속히 내압을 내려 준다. 정답은, ④ 살균이 끝나면 배기밸브를 열어 속히 내압을 내려 준다. 해설. 살균이 끝난 후에는 병의 파손이나 면전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연적으로 배기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다. 2번. 양송이버섯 재배를 위한 퇴비배지의 주재료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말똥 ② 밀짚 ③ 볏짚 ④ 톱밥 정답은, ④ 톱밥 해설. 양송이 퇴비배지는 볏짚, 밀짚, 말똥(마분), 산야초 등을 주재료로 사용할 .. 2024. 11. 2.
버섯종균기능사 2회 1번. 버섯종균을 생산하기 위하여 종자업 등록을 할 경우 1회 살균 기준 살균기의 최소용량은? ① 1,500병 이상 ② 1,000병 이상 ③ 600병 이상 ④ 2,000병 이상 정답은, ③ 600병 이상 해설. 종자업의 버섯장비 시설기준 • 실험실 : 현미경(1,000배 이상) 1대, 냉장고(200L 이상) 1대, 소형고압살균기 1대, 항온기 2대, 건열살균기 1대 이상일 것 • 준비실 : 입병기 1대, 배합기 1대, 자숙솥 1대(양송이 생산자만 해당) • 살균실 : 고압살균기(압력은 15~20LPS, 규모는 1회 600병 이상일 것), 보일러(0.4톤 이상일 것) 2번. 큰느타리버섯의 대가 충분히 성장한 후 수확시기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① 갓의 형태와 갓의 크기 ② 갓의 형태와 갓의.. 2024. 11. 2.
버섯종균기능사 3회 1번. 팽이버섯이나 느타리의 재배용 배지에 접종원으로 사용되는 종균의 종류는? ① 퇴비배양종균 ② 곡립배양종균 ③ 톱밥배양종균 ④ 목편배양종균 정답은, ③ 톱밥배양종균 해설. 톱밥을 이용하여 종균생산이 가능한 버섯은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팽이버섯, 맛버섯, 잎새버섯, 뽕나무버섯, 목이버섯, 털목이버섯, 영지버섯 등이 있으며, 곡물을 이용하여 종균생산이 가능한 버섯은 양송이버섯이 있다. 2번. 다음 중 느타리버섯에 주로 발생하는 버섯파리가 아닌 것은? ① 긴수염버섯파리 ② 버섯혹파리 ③ 버섯벼룩파리 ④ 버섯등에파리 정답은, ④ 버섯등에파리 해설. 버섯파리는 시아리드(긴수염버섯파리), 세시드(버섯혹파리), 포리드(버섯벼룩파리) 등이며, 느타리나 양송이 재배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3번. 표고와 느타리.. 2024. 11. 2.
버섯종균기능사 4회 1번. 버섯의 생활사 중 이배체핵(2n, Diploid)을 형성하는 시기는? ① 단핵균사체 ② 이핵균사체 ③ 담자기 ④ 담자포자 정답은, ③ 담자기 해설. 이배체핵(2n, Diploid)을 형성하는 시기는 담자기이다. 2번. 톱밥배지의 상압살균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약 60℃ ② 약 100℃ ③ 약 121℃ ④ 약 150℃ 정답은, ② 약 100℃ 해설. 톱밥배지의 상압살균 • 상압 살균솥을 이용한다. • 증기에 의한 살균방법이다. • 100℃ 내외를 기준으로 한다. • 온도 상승 후 약 5~6시간을 표준으로 한다. 3번. 솜마개 사용요령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길게 하여 깊이 틀어막는다. ② 표면이 둥글게 한다. ③ 빠지지 않게 단단히 한다. ④ 좋은 솜을 사용한다. 정답은, ① 길게 하.. 2024. 11. 2.
버섯종균기능사 5회 1번. 느타리 볏짚재배 시 볏짚의 물 축이기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물을 충분히 축인다.  ② 추울 때 작업한다.  ③ 배지의 수분은 70% 내외가 좋다.  ④ 단시간 내 축인다. 정답은, ② 추울 때 작업한다.  해설. 추울 때 물이 얼게 되면 수분흡수가 어려우므로, 가급적 영하인 날은 피하여 침수작업을 하는 것이 좋다. 2번. 병재배를 이용하여 종균을 접종하려 할 때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배지온도가 25℃까지 식었을 때 접종한다. ② 고압살균은 121℃, 1.1kgf/cm²에서 90분간 실시한다. ③ 고압살균 후 상온이 될 때까지 냉각을 하고 병을 꺼낸다. ④ 접종실과 냉각실의 UV등을 항상 켜놓고, 작업을 하거나 배지 보관 시에는 소등한다. 정답은, ③ 고압살균 후 .. 2024. 11. 2.
버섯종균기능사 6회 1번. 톱밥종균 제조과정 중 입병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종균병의 크기는 보통 이동이 간편한 450mL 크기를 선호한다. ② 입병작업은 자동화가 불가능하며 대부분 수동작업으로 인력에 의존한다. ③ 배지 중앙에 구멍을 뚫는 이유는 배지의 무게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④ 배지량은 병당 550~650g이 적당하다. 정답은, ④ 배지량은 병당 550~650g이 적당하다. 해설. 옳은 설명 • 종균병의 크기는 보통 850~1,400cc까지 있다. • 배지중앙에 구멍을 뚫는 이유는 접종원이 병 하부에까지 일부 내려가서 배양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병 내부의 공기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2번. 감자추출배지의 살균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고압증기살균 ② 여과살균 ③ 자외선살균 ④ 건열살균 정.. 2024. 11. 2.
버섯종균기능사 7회 1번. 양송이 퇴비 후발효 중 먹물버섯이 잘 발생하는 온도는? ① 20~30℃ ② 40~50℃ ③ 60~70℃ ④ 80~90℃ 정답은, ② 40~50℃ 해설. 퇴비 후발효 시 퇴비의 온도가 50℃ 이상을 넘지 못하는 경우 주로 발생한다. 2번. 배지를 121℃로 고압살균할 때 1cm²당 압력은? ① 0.8~1.0kg ② 1.1~1.2kg ③ 1.3~1.5kg ④ 1.6~2.0kg 정답은, ② 1.1~1.2kg 해설. 배지의 고압살균은 온도 121℃, 압력 1.1~1.2kg/cm² 정도가 적당하다. 3번. 팽이버섯의 원균 보존에 가장 적합한 온도는? ① 약 4℃ ② 약 10℃ ③ 약 15℃ ④ 약 20℃ 정답은, ① 약 4℃ 해설. 팽이버섯의 원균은 4℃ 범위의 냉장고에 보관해야 하며, 빛에 노출시키지 않.. 2024. 11. 2.
식품가공기능사 1회 1번. 일반적으로 식중독 세균이 가장 잘 자라는 온도는? ① 0~10℃ ② 10~20℃ ③ 20~25°C ④ 25~37°C 정답은, ④ 25~37°C 해설. 미생물은 증식 가능한 온도 범위에 따라 저온성균(0~20℃), 중온성균(20~40℃), 고온성균(40~75℃)으로 구분한다. 특히 식중독 세균은 25~37°C 정도의 온도에서 가장 잘 자란다. 2번. 생크림과 같이 외부의 힘에 의하여 변형된 물체가 그 힘을 제거하여도 원상태로 되돌아가지 않는 성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점성 ② 소성 ③ 탄성 ④ 점탄성 정답은, ② 소성 해설. 소성은 외부에서 힘의 작용을 받아 변형된 다음 힘을 제거하여도, 원상태로 복귀하지 않는 성질을 말한다. 3번. 인체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무기질은? ① 아이오딘(I.. 2024. 10. 25.
식품가공기능사 2회 1번. 수리미(Surimi)의 주요 재료는? ① 명태 ② 대합 ③ 오징어 ④ 새우 정답은, ① 명태 해설. 냉동 연육(Surimi)은 으깬 생선살을 주원료로 하여 당분과 소금과 인산염 등을 첨가한 것으로, 어묵의 주원료이다. 2번. 냉동능력을 나타내는 1냉동톤의 정의는? ① 1톤의 0℃의 물을 12시간 안에 0℃의 얼음으로 만들어내는 능력을 말한다. ② 1톤의 0℃의 물을 24시간 안에 0℃의 얼음으로 만들어내는 능력을 말한다. ③ 1톤의 4℃의 물을 12시간 안에 0℃의 얼음으로 만들어내는 능력을 말한다. ④ 1톤의 4℃의 물을 24시간 안에 0℃의 얼음으로 만들어내는 능력을 말한다. 정답은, ② 1톤의 0℃의 물을 24시간 안에 0℃의 얼음으로 만들어내는 능력을 말한다. 3번. 밀가루, 설탕 등 반유.. 2024. 10. 25.
식품가공기능사 3회 1번. 다음 중 육색소가 아닌 것은? ① 마이오글로빈 ② 메트마이오글로빈 ③ 카로틴 ④ 나이트로소마이오글로빈 정답은, ③ 카로틴 해설. 카로틴은 당근, 고추 등의 붉은색이나 노란색을 내는 식물성 색소이다. 육색소인 마이오글로빈은 산소와 결합하여 메트마이오글로빈이 되어 근육의 색이 검은색을 띠게 되는데, 여기에 초석이나 아질산나트륨이 존재하게 되면 나이트로소마이오글로빈이 생겨 선명한 붉은 빛깔을 띠게 된다. 2번. 버터 제조공정 중 수중유탁액(O/W) 상태에서 유중수탁액(W/O) 상태로 되는 공정은? ① 살균 ② 숙성 ③ 교동 ④ 연압 정답은, ④ 연압 해설. 버터가 덩어리로 뭉쳐 있는 것을 짓이기는 공정을 연압이라 하며, 이 때가 수중유탁액(O/W) 상태에서 유중수탁액(W/O) 상태로 상전환이 이루어지는.. 2024. 10.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