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롤러운전기능사 기출모음14 롤러운전기능사 1회 01. 건설기계의 조종 중 고의 또는 과실로 가스공급시설을 손괴할 경우 조종사면허의 처분기준은? ① 면허효력정지 10일 ② 면허효력정지 15일 ③ 면허효력정지 25일 ④ 면허효력정지 180일 정답 ④ 면허효력정지 180일 02. 건설기계 등록이 말소되는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건설기계를 폐기한 때 ② 건설기계의 구조 변경을 했을 때 ③ 건설기계가 멸실되었을 때 ④ 건설기계를 수출할 때 정답 ② 건설기계의 구조 변경을 했을 때 해설. 건설기계 등록 말소 사유는 ①, ③, ④번 이외에도 • 건설기계를 도난당한 경우 • 건설기계가 건설기계안전기준에 적합하지 아니하게 된 경우 • 구조적 제작 결함 등으로 건설기계 제작자 또는 판매자에게 반품한 경우 • 건설기계를 교육, 연구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등.. 2024. 5. 14. 롤러운전기능사 2회 01. 건설기계 등록사항 변경이 있을 때, 소유자는 건설기계등록사항 변경신고서를 누구에게 제출하여야 하는가? ① 관할검사소장 ② 고용노동부장관 ③ 행정안전부장관 ④ 시 · 도지사 정답 ④ 시 · 도지사 해설. 건설기계의 소유자는 건설기계등록사항에 변경이 있는 때에는 그 변경이 있은 날 부터 30일 이내에 건설기계등록사항 변경신고서를 시 · 도지사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02. 대형건설기계의 특별표지 중 경고표지판 부착 위치는? ① 작업인부가 쉽게 볼 수 있는 곳 ② 조종실 내부의 조종사가 보기 쉬운 곳 ③ 교통경찰이 쉽게 볼 수 있는 곳 ④ 특별 번호판 옆 정답 ② 조종실 내부의 조종사가 보기 쉬운 곳 해설. 대형건설기계에는 조종실 내부의 조종사가 보기 쉬운 곳에 기준에 적합한 경고표지판을 부착하여야 한.. 2024. 5. 14. 롤러운전기능사 3회 01. 건설기계 등록신청 시 첨부하지 않아도 되는 서류는? ① 호적등본 ② 건설기계의 소유자임을 증명하는 서류 ③ 건설기계제작증 ④ 건설기계제원표 정답 ① 호적등본 02. 건설기계 소유자가 정비작업 범위를 위반하여 건설기계를 정비한 자에 대한 벌칙은? ① 200만원 이하의 벌금 ② 100만원 이하의 벌금 ③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④ 5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 ④ 50만원 이하의 과태료 해설. 정비작업 범위를 위반하여 건설기계를 정비한 자에게는 5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건설기계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가 자신의 정비시설을 갖추어 건설기계를 정비하려는 경우에는 정비시설의 종류 및 규모에 따라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범위에서 정비를 하여야 한다. 03. 고의로 경상 2명의 인명피해를 입힌 건.. 2024. 5. 14. 롤러운전기능사 4회 01. 냉각장치에서 라디에이터의 구비 조건으로 틀린 것은? ① 공기의 흐름저항이 클 것 ② 단위면적당 방열량이 클 것 ③ 가볍고 작으며, 강도가 클 것 ④ 냉각수의 흐름저항이 작을 것 정답 ① 공기의 흐름저항이 클 것 해설. 공기 흐름저항이 작을 것 02. 공회전 상태의 기관에서 크랭크축의 회전과 관계없이 작동되는 기구는? ① 발전기 ② 캠 샤프트 ③ 플라이휠 ④ 스타트 모터 정답 ④ 스타트 모터 해설. 자동차는 엔진의 활동으로 만들어내는 힘을 이용하여 움직이는데, 엔진이 정지 상태에서 활동하려면 외부의 힘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때 엔진이 활동할 수 있도록 엔진 외부에서 힘을 불어넣는 장치가 스타트 모터이며, 셀프 스타터(Self-starter)라고 불리기도 한다. 03. 4행정 사이클 기관의 윤활.. 2024. 5. 14. 롤러운전기능사 5회 01. 기관에서 피스톤의 행정이란? ① 피스톤의 길이 ② 실린더 벽의 상하 길이 ③ 상사점과 하사점과의 총면적 ④ 상사점과 하사점과의 거리 정답 ④ 상사점과 하사점과의 거리 02. 압력식 라디에이터 캡에 있는 밸브는? ① 입력밸브와 진공밸브 ② 압력밸브와 진공밸브 ③ 입구밸브와 출구밸브 ④ 압력밸브와 메인밸브 정답 ② 압력밸브와 진공밸브 해설. 라디에이터 캡의 압력밸브는 물의 비등점을 높이고, 진공밸브는 냉각 상태를 유지할 때 과랭 현상이 되는 것을 막아주는 일을 한다. 03. 오일펌프에서 펌프량이 적거나 유압이 낮은 원인이 아닌 것은? ① 오일탱크에 오일이 너무 많을 때 ② 펌프 흡입라인(여과망) 막힘이 있을 때 ③ 기어와 펌프 내벽 사이 간격이 클 때 ④ 기어 옆 부분과 펌프 내벽 사이 간격이 .. 2024. 5. 14. 롤러운전기능사 6회 01.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는? ① 펌프 ② 모터 ③ 엔진 ④ 밸브 정답 ③ 엔진 02. 노킹이 발생되었을 때 디젤기관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① 배기가스의 온도가 상승한다. ② 연소실 온도가 상승한다. ③ 엔진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④ 출력이 저하된다. 정답 ① 배기가스의 온도가 상승한다. 해설. 디젤기관의 노킹 피해 • 기관이 과열되고, 배기온도가 상승된다. • 열효율이 저하된다. • 실린더, 피스톤, 밸브의 손상 및 고착을 발생시킨다. • 출력이 저하된다. 03. 크랭크축의 비틀림 진동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각 실린더의 회전력 변동이 클수록 커진다. ② 크랭크축이 길수록 커진다. ③ 강성이 클수록 커진다. ④ 회전부분의 질량이 클수록 커진다. 정답 .. 2024. 5. 14. 롤러운전기능사 7회 01. 특별표지판 부착 대상인 대형 건설기계가 아닌 것은? ① 길이가 15m인 건설기계 ② 너비가 2.8m인 건설기계 ③ 높이가 6m인 건설기계 ④ 총중량 45ton인 건설기계 정답 ① 길이가 15m인 건설기계 해설. 특별표지판을 부착하여야 하는 대형 건설기계의 범위 • 길이가 16.7m를 초과하는 건설기계 • 너비가 2.5m를 초과하는 건설기계 • 높이가 4.0m를 초과하는 건설기계 • 최소회전반경이 12m를 초과하는 건설기계 • 총중량이 40ton을 초과하는 건설기계 • 총중량 상태에서 축하중이 10ton을 초과하는 건설기계 02. 건설기계관리법에 따라 최고주행속도 15km/h 미만의 타이어식 건설기계가 필히 갖추어야 할 조명장치가 아닌 것은? ① 전조등 ② 후부반사기 ③ 비상점멸 표시등 ④ 제동등.. 2024. 5. 13. 롤러운전기능사 8회 01. 기관에서 배기상태가 불량하여 배압이 높을 때 발생하는 현상과 관련 없는 것은? ① 기관이 과열된다. ② 냉각수 온도가 내려간다. ③ 기관의 출력이 감소된다. ④ 피스톤의 운동을 방해한다. 정답 ② 냉각수 온도가 내려간다. 해설. 배기관의 배압이 높으면 배출되지 못한 가스 열에 의해 과열되고 이로 인해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된다. 02. 윤활유에 첨가하는 첨가제의 사용 목적으로 틀린 것은? ① 유성을 향상시킨다. ② 산화를 방지한다. ③ 점도지수를 향상시킨다. ④ 응고점을 높게 해 준다. 정답 ④ 응고점을 높게 해 준다. 해설. 응고점을 낮게 해 준다. 03. 기관 운전 중에 진동이 심해질 경우 점검해야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기관의 점화시기 점검 ② 기관과 차체 연결 마운틴의 점검 ③.. 2024. 5. 13. 롤러운전기능사 9회 01. 부동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에틸렌글리콜과 글리세린은 단맛이 있다. ② 부동액 100%인 원액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③ 온도가 낮아지면 화학적 변화를 일으킨다. ④ 부동액은 냉각 계통에 부식을 일으키는 특징이 있다. 정답 ① 에틸렌글리콜과 글리세린은 단맛이 있다. 해설. 옳은 설명 • 부동액은 냉각수와 50 : 50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온도변화와 관계없이 화학적으로 안정해야 한다. • 부동액에는 금속들의 부식을 막기위해 부식 방지제 등의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다. 02. 프라이밍 펌프를 이용하여 디젤기관 연료장치 내에 있는 공기를 배출하기 어려운 곳은? ① 공급 펌프 ② 연료 필터 ③ 분사 펌프 ④ 분사 노즐 정답 ④ 분사 노즐 03. 예열플러그의 고장이 발생.. 2024. 5. 13. 롤러운전기능사 10회 01. 4행정 기관에서 흡 · 배기밸브가 모두 열려 있는 시점은? ① 흡입행정 말 ② 압축행정 초 ③ 폭발행정 초 ④ 배기행정 말 정답 ④ 배기행정 말 해설. 4행정 엔진에서는 배기행정이 끝나고 흡입행정이 시작하는 상사점 부근에서 흡입밸브와 배기밸브가 동시에 열려 있는 시점이다. 02. 기관 윤활장치의 유압이 낮아지는 이유가 아닌 것은? ① 오일의 점도가 높을 때 ② 베어링 윤활간극이 클 때 ③ 오일팬 오일이 부족할 때 ④ 압력조절 스프링 장력이 약할 때 정답 ① 오일의 점도가 높을 때 해설. 점도가 높아지면 마찰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압력이 높아진다. 03. 디젤기관에 과급기를 설치하였을 때 장점이 아닌 것은? ① 동일 배기량에서 출력이 감소하고, 연료소비율이 증가된다. ② 냉각 손실이 작으며, 높은.. 2024. 5. 13.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