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기출모음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3회

by 스터디윤쌤 2024. 6. 3.
반응형

01.
다음 중 천장크레인의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전동기를 사용하여 이동하는 장치이다.

② 주행 및 횡행으로 선회하며 짐을 운반하는 장치이다.

③ 평행으로 짐을 운반하는 장치이다.

④ 주행 · 횡행 · 권상의 3운동으로 짐을 운반하는 장치이다.

정답
④ 주행 · 횡행 · 권상의 3운동으로 짐을 운반하는 장치이다.

해설.
천장크레인은 주행레일 위에 설치된 새들에 직접적으로 지지되는 거더가 있는 크레인을 말하며, 주행 · 횡행 · 권상의 3운동에 의해 훅이 이동할 수 있는 작업 가능공간 안에서 모든 작업이 가능하다.





02. 
다음 중 권상장치의 동력전달 순서로 맞는 것은?

① 전동기 → 기어감속기 → 커플링 → 드럼 → 와이어로프 → 훅

② 전동기 → 커플링 → 드럼 → 기어감속기 → 와이어로프 → 훅

③ 전동기 → 커플링 → 기어감속기 → 드럼 → 와이어로프 → 훅 

④ 전동기 → 기어감속기 → 드럼 → 커플링 → 와이어로프 → 훅

정답
③ 전동기 → 커플링 → 기어감속기 → 드럼 → 와이어로프 → 훅 

해설.
권상장치의 동력전달 순서

전동기 → 커플링 → 기어감속기 → 드럼 → 와이어로프 → 훅의 순이다.





03. 
크레인의 유압브레이크에서 공기가 차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

① 권상의 경우 상 · 하 동작 시 급정지한다.

② 주행의 경우 정지시켜도 밀림현상이 생긴다.

③ 주행의 경우 기동불능 현상이 생긴다.

④ 권상의 경우 기동불능 현상이 생긴다.

정답
② 주행의 경우 정지시켜도 밀림현상이 생긴다.

해설.
유압브레이크에 공기가 차면 주행의 경우 정지시켜도 밀림현상이 생긴다.





04. 
천장크레인에서 정격하중의 의미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① 크레인이 들어 올릴 수 있는 최대 하중

② 크레인이 평상 시 주로 많이 취급하는 하중

③ 달기기구의 무게를 제외한 안전 작업 하중

④ 달기기구의 무게를 포함한 안전 작업 하중

정답
③ 달기기구의 무게를 제외한 안전 작업 하중

해설.
정격하중 = 안전 작업하중 - 달기기구 중량





05. 
크레인의 권상장치에서 드럼의 권과방지장치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① 권과방지장치는 중추식, 스크루식, 캠식이 주로 사용된다.

② 캠식은 도르래의 회전에 의거 작동한다.

③ 스크류식은 드럼의 회전에 의거 작동한다. 

④ 중추식은 훅의 접촉에 의거 작동된다.

정답
② 캠식은 도르래의 회전에 의거 작동한다.

해설.
캠식은 드럼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드럼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며, 내부의 캠이 마이크로 스위치를 눌러서 작동한다.





06. 
크레인에 사용하는 과부하 방지장치의 안전점검 사항 중 틀린 것은?

① 과부하 방지장치가 동작할 때는 경보음이 작동되어야 한다.

② 관계책임자 이외는 임의로 조정할 수 없도록 납봉인 등이 되어 있어야 한다.

③ 과부하 방지장치의 동작 시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자동복귀되어야 한다.

④ 과부하 방지장치는 성능검정을 필한 것이어야 한다.

정답
③ 과부하 방지장치의 동작 시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자동복귀되어야 한다.

해설.
과부하 방지장치가 작동되면 원인을 파악한 후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하며, 원인 규명없이 자동복귀하면 안된다.





07. 
천장크레인의 거더와 새들을 점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부재의 균열 유무 확인

② 구조물의 용접부에 균열 또는 결함의 발생유무 확인

③ 취부 볼트의 풀림 · 부식 등은 없는지 확인

④ 윤활유는 적당한지 확인

정답
④ 윤활유는 적당한지 확인

해설.
윤활유는 축의 베어링 등에 주유하고, 거더나 새들 부분에는 주유하지 않는다.





08. 
천장크레인 제동 시 브레이크 라이닝에서 발열이 심하며 연기가 발생할 때의 조치사항으로 맞는 것은?

① 공기 중에서 자연 냉각시킨 후 라이닝과 브레이크 드럼사이의 간격을 점검하여 적합하게 조정하였다.

② 공기 중에서 자연 냉각시킨 후 브레이크 드럼을 교환하였다. 

③ 드럼에 물을 뿌려 식힌 다음 라이닝의 틈새를 작게 조정하였다.

④ 드럼과 라이닝에 물을 뿌려 식힌 다음 라이닝을 교환하였다. 

정답
① 공기 중에서 자연 냉각시킨 후 라이닝과 브레이크 드럼사이의 간격을 점검하여 적합하게 조정하였다.

해설.
브레이크 라이닝이 발열되어 연기가 나는 것은 제동 해제 시 라이닝과 브레이크 드럼사이의 간극이 적은 것이므로 드럼직경의 1/150 또는 드럼 편측에서 1~1.5mm 간극을 조정해야 한다.





09. 
차륜의 점검 및 보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정하지 못한 것은?

① 차륜 베어링의 마모와 급유에 항상 주의한다.

② 각 차륜의 중심선이 일치하는가를 점검한다. 

③ 차륜의 주행레일과 기계간의 직각을 유지하는가를 점검한다. 

④ 차륜을 교환 또는 육성가공할 경우 해당 차륜 한 개만을 수리하는 것이 원칙이다.

정답
④ 차륜을 교환 또는 육성가공할 경우 해당 차륜 한 개만을 수리하는 것이 원칙이다.

해설.
한 개의 차륜이 파손되어도 전체 차륜을 교체해야 된다.





10. 
천장크레인의 레일(Rail)은 무엇을 기준으로 하여 선정되는가?

① 최대 차륜압

② 바퀴의 크기와 중량

③ 크레인의 정격하중

④ 크레인의 스팬(span)

정답
① 최대 차륜압

해설.
천장크레인의 레일(rail) 선정기준은 크레인의 최대 차륜압으로 선정한다.





11. 
다음 중 천장크레인에 해당하는 것은?

① 지브크레인

② 케이블 크레인

③ 제철소용 원료 장입 크레인

④ 언로더

정답
③ 제철소용 원료 장입 크레인

해설.
천장크레인의 종류

• 일반 기계공장에서 사용되는 보통 천장크레인 
• 제철 제강공장에서 사용되는 원료 크레인, 장입 크레인, 레이들 크레인, 강괴 크레인, 단도 크레인, 소입 크레인 등으로 분류된다.





12. 
크레인의 주요 부분의 설명 중 맞지 않은 것은?

① 크래브는 권상장치와 횡행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와이어로프를 통하여 훅을 가지고 있다.

② 권상장치는 하물을 수직으로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역할을 하며, 주요 부품은 모터, 브레이크, 감속기, 드럼 등이 있다.

③ 횡행장치는 크래브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모터, 브레이크, 감속기를 통하여 차륜을 구동한다.

④ 주행장치는 횡행장치와 비슷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항상 횡행장치와 동시에 움직인다.

정답
④ 주행장치는 횡행장치와 비슷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항상 횡행장치와 동시에 움직인다.

해설.
주행장치는 거더의 중앙부에 주행용 전동기가 설치되며, 감속기어를 거쳐서 주행차륜 레일위에서 회전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13. 
천장크레인의 거더 중 부식에 강하며 대 하중 · 편심하중을 받는데 가장 유리한 것은?

① 플레이트 거더

② 트러스 거더

③ 박스 거더

④ 강관구조 거더

정답
③ 박스 거더

해설.
박스 거더는 부식에 강하며, 대 하중 · 편심하중을 받는데 가장 유리하다.





14. 
다음 중 다이내믹 브레이크를 설명한 것으로 맞는 것은?

① 다이내믹 브레이크에는 마그넷 브레이크, 스러스트 브레이크, 유압 브레이크 등이 있다.

② 구조가 간단하고 정격속도의 1/5의 안정된 저속도를 쉽게 얻을 수 있다.

③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동방식은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이 전기에너지를 소모시켜 제어한다.

④ 직류 전자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직류 전원용으로 별도 전용 제어함이 필요하다.

정답
③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동방식은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이 전기에너지를 소모시켜 제어한다.

해설.
다이내믹 브레이크(dynamic brake)의 제동방식은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켜, 이 전기에너지를 소모시켜 크레인을 제어한다.





15. 
천장크레인의 자동 도유장치는 일반적으로 어느 곳에 도유하는가?

① 주행차륜 축

② 주행차륜 보스

③ 주행차륜 플랜지

④ 주행레일 기어

정답
③ 주행차륜 플랜지

해설.
크레인의 경사로 인해 플랜지나 레일 측면 마모가 심해 주행차륜 플랜지에 자동도유장치로 주유한다.





16. 
천장크레인의 브레이크 드럼과 휠의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① 브레이크는 휠과 라이닝의 마찰력에 의해 제동된다.

② 브레이크 휠은 2mm의 요철발생 시 수정 또는 교체해야 한다.

③ 브레이크 개방 시 드럼과 라이닝의 간극이 드럼의 원을 따라 같아야 한다.

④ 브레이크 휠과 라이닝의 수직 · 수평 폭은 3mm 이내이어야 한다.

정답
④ 브레이크 휠과 라이닝의 수직 · 수평 폭은 3mm 이내이어야 한다.

해설.
브레이크 휠과 라이닝의 수직 · 수평 폭은 1mm 이내이어야 하고, 디스크 브레이크는 디스크 마모량이 10% 이내이며, 휠 또는 드럼 타입의 경우 림(휠의 두께)의 마모량은 40% 이내이다.





17. 
와이어로프 드럼(wire-rope drum)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와이어로프 드럼은 권상장치에 포함된 것으로서 중량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하는 기계장치이다.

② 와이어로프 드럼의 직경은 와이어로프 직경의 10~15배로 한다.

③ 드럼의 크기는 가능한 한 로프의 전체길이를 1렬에 감을 수 있게 한다.

④ 와이어로프를 드럼에 고정시킬 때 클램프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정답
② 와이어로프 드럼의 직경은 와이어로프 직경의 10~15배로 한다.

해설.
와이어로프 드럼은 권상장치에 포함된 것으로서 중량을 들어 올리거나 내릴 때 와이어로프 드럼이 회전하면서 와이어로프를 감아 올리거나 풀어내리면서 중량물을 들고 내리는 기계장치이다. 
와이어로프 드럼의 직경은 와이어로프 직경의 20~25배로 한다.





18. 
천장크레인에서 사행운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휠베이스가 스팬의 몇 배 이하이어야 하는가?

① 8배

② 10배

③ 12배

④ 15배

정답
① 8배

해설.
천장크레인의 사행운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휠베이스가 스팬의 8배 이하이어야 한다.





19.
다음 중 크레인의 운전실 또는 운전대에 충족시켜야 할 조건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운전자가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것 

② 운전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개폐기, 제어기, 브레이크, 경보장치 등을 설치할 것

③ 운전실의 바닥을 미끄러지지 않는 구조로 할 것

④ 운전실에는 밝은 조명이 차단되도록 차단막을 갖출 것

정답
④ 운전실에는 밝은 조명이 차단되도록 차단막을 갖출 것

해설.
운전자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감전위험이 있는 충전부분에는 감전방지를 위한 덮개나 울을 설치하고, 분진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해야하며, 운전실에는 적절한 조명을 갖추어야 한다.





20. 
다음 중 훅(Hook)의 점검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훅의 안전율(안전계수)은 5이다. 

② 훅의 파괴시험은 정격하중의 5배(500%)이다.

③ 훅의 입구의 벌어짐은 원치수의 10%이다.

④ 훅의 줄걸이 부분의 마모는 원치수의 5% 이하이며, 마모의 깊이가 2mm 이하일 때는 다듬어서 사용한다.

정답
③ 훅의 입구의 벌어짐은 원치수의 10%이다.

해설.
훅의 입구의 벌어짐은 원치수의 5% 이내이어야 한다.





21. 
권상장치용 시브(Sheave)의 피치원 직경(D)은 와이어로프 직경(d)의 몇 배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① 5배

② 10배

③ 15배

④ 20배

정답
④ 20배

해설.
권상장치용 시브의 피치원 직경은 와이어로프 직경의 20배 이상으로 하고, 이퀄라이저 시브(회전하지 않는 시브)는 10배, 과부하방지장치용은 5배 이상으로 할 수 있다.





22. 
크레인 운전 중 전자브레이크에 이상 제동이 걸리는 경우 점검해야 할 것은?

① 전원 전압

② 전동기 회전수

③ 콘트롤러

④ 시브

정답
① 전원 전압

해설.
크레인 운전 중 전압 강하 시 전자브레이크와 전자석 부분이 과열되어 이상제동이 걸리는 경우가 있다.





23. 
차륜(휠, wheel)의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① 차륜에는 구동차륜과 종동차륜이 있다. 

② 차륜의 재질은 주철, 주강, 특수주강이다.

③ 차륜과 레임접촉면의 마모한도는 차륜직경의 5%까지이다. 

④ 차륜 플랜지의 마모는 원치수의 50%까지이다.

정답
③ 차륜과 레임접촉면의 마모한도는 차륜직경의 5%까지이다. 

해설.
차륜 플랜지의 경사는 수직위치에서 20º 까지이고, 차륜과 레일 접촉면의 마모한도는 직경의 3% 이내이다.





24. 
다음 중 기계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과 동력을 전달하는 고정축을 연결하는 장치는?

① 베어링

② 기어

③ 키(Key)

④ 축 이음(Coupling)

정답
④ 축 이음(Coupling)





25. 
거더의 중앙부에 정격하중 및 달기기구 자중을 합산한 하중을 매달았을 경우 허용 처짐량은 스팬의 얼마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는가?

① 1/500

② 1/800

③ 1/1,200

④ 1/1,500

정답
② 1/800

해설.
크레인 거더의 처짐은 정격하중 및 달기기구 자중을 합한 하중에 상당하는 하중을 가장 불리한 조건으로 권상하였을 때 당해 스팬의 1/800 이하가 되어야 한다.





26. 
다음 중 크레인의 고정된 부분과 이동하는 부분 사이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장치인 집전장치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카본 브러시의 마모

② 접촉압력 부족

③ 부스바 또는 프롤리바의 휨이 발생되었을 때

④ 집전기와 부스바가 수평으로 설치되었을 때

정답
④ 집전기와 부스바가 수평으로 설치되었을 때

해설.
집전기와 부스가 수평으로 설치되면 천장크레인 운행 중 집전기 이탈이 많이 발생하지만 스파크 발생과는 무관하다.





27. 
어떠한 전기회로에서 전류를 막거나 저지하고 전압을 강하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인 저항기의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① 천장크레인에서는 주로 3상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2차측에 연결시켜 속도제어를 목적으로 사용한다. 

② 저항기를 구성하고 있는 그리드는 격자무늬 형태이다. 

③ 저항기의 발열온도는 250도 까지이다.

④ 저항기 주변은 통풍이 잘되어야 하고, 눈이나 비를 맞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정답
③ 저항기의 발열온도는 250도 까지이다.

해설.
저항기는 전기에너지를 열어너지로 바꾸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는데, 발열온도는 350도 까지이므로 화재의 위험이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





28. 
천장크레인에 사용되는 전동기의 조건이 아닌 것은?

① 기동력과 회전력이 크고, 속도조정이 가능할 것

② 빈번한 반복운동에 견딜 것

③ 용량에 비해 소형이고, 구입하기 쉬울 것

④ 주로 교류전동기가 사용되며 종류에는 직권 · 분권 · 복권전동기가 있다.

정답
④ 주로 교류전동기가 사용되며 종류에는 직권 · 분권 · 복권전동기가 있다.

해설.
• 직류를 사용하는 직류전동기 : 직권 · 분권 · 복권전동기
• 교류를 사용하는 교류전동기 : 단상전동기, 3상전동기





29. 
전동기의 점검사항 중 일상 점검사항인 것은?

① 이상이 발생하고 있지않은가, 소리에의해 원인을 판단하고 대책을 강구한다.

② 절연저항계로 각 부의 절연을 조사한다.

③ 운전중의 각 부의 온도를 조사한다.

④ 조임부의 이완과 구조상의 흔들림이 없는가를 조사한다.

정답
① 이상이 발생하고 있지않은가, 소리에의해 원인을 판단하고 대책을 강구한다.

해설.
전동기의 정기점검 사항

• 축수의 기름과 오래된 그리스를 교환한다.
• 갭게이지로 고정자 · 회전자간의 갭을 측정하고 불평형이 있으면 조정한다.
• 절연저항계로 각 부의 절연을 조사한다.
• 운전 중의 각 부의 온도를 조사한다.
• 조임부의 이완과 구조상의 흔들림이 없는가를 조사한다.





30. 
다음 절연재료의 종류 중 가장 높은 온도 상승에 견딜 수 있는 것은?

① A종

② B종

③ E종

④ F종

정답
④ F종

해설.
절연의 종류 및 허용 최고온도

• A종 : 105ºC
• E종 : 120ºC
• B종 : 130ºC
• F종 : 155ºC
• C종 : 180ºC 초과





31.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속도조정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① 슬립링

② 회전자

③ 고정자

④ 2차 저항기

정답
④ 2차 저항기

해설.
2차측 전원을 회전자에 부착되어 있는 슬립링과 슬립링과 접촉되는 브러쉬를 통하여 2차 저항에 연결시켜 속도제어를 할 수 있다.





32. 
천장크레인의 도장은 도장면적의 약 몇 [%]에 녹 또는 부식이 발생했을 때 재도장을 실시하는 것이 적당한가?

① 10%

② 20%

③ 30%

④ 40%

정답
① 10%

해설.
크레인 도장면적의 약 10%에 녹이 발생하거나 부식이 발생하였을 때 재도장을 실시한다.





33. 
펜던트 스위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펜던트 스위치에서는 크레인의 비상정지용 누름버튼과 각각의 작동종류에 따른 누름버튼 등이 비치되어 있고 정상적으로 작동하여야 한다.

② 펜던트 스위치에 접속된 케이블은 꼬임이나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조 와이어로프 등으로 지지 되어야 한다.

③ 조작용 전기회로의 전압은 교류 대지전압 150V 이하 또는 직류 300V 이하이어야 한다. 

④ 펜던트 스위치 외함구조가 절연제품이 아닐 경우에는 접지선을 생략할 수 있다.

정답
④ 펜던트 스위치 외함구조가 절연제품이 아닐 경우에는 접지선을 생략할 수 있다.

해설.
펜던트 스위치의 외함은 식별이 용이한 색상이어야 하며, 최소보호등급은 옥내용인 경우 IP43, 옥외용인 경우 IP55 이상 이어야 한다. 
펜던트 스위치는 절연제품이 아닌 경우에는 크레인과의 사이에 접지선이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34. 
천장크레인에 윤활유나 그리스 등이 묻어서는 안되는 곳은?

① 와이어로프 및 드럼

② 베어링 및 하우징

③ 체인 및 스프로켓

④ 브레이크 드럼

정답
④ 브레이크 드럼

해설.
제동작용을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이나 드럼에 윤활유나 그리스가 묻으면 안된다.





35. 
다음 (  )에 알맞은 것은?


① 30

② 40

③ 50

④ 60

정답
④ 60

해설.
옥외에 지상 60m 이상 높이로 설치되어 있는 크레인에는 항공법 41조에 따른 항공장애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36. 
감속기 기어에 급유하는 목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미끄럼 방지

② 소음 방지

③ 냉각작용

④ 유막형성

정답
① 미끄럼 방지

해설.
감속기 기어에 급유하는 목적은 냉각작용, 방청, 유막형성, 윤활작용으로 인한 용력분산, 마모방지, 소음완화 등이다.





37. 
베어링(Bearing) 호칭번호 23124의 안지름은?

① 60mm

② 115mm

③ 120mm

④ 155mm

정답
③ 120mm

해설.
베어링 호칭번호의 끝에서 두자리 수의 5를 곱한 값이 베어링의 안지름으로, 24 × 5 = 120mm가 된다. 





38. 
전기식 과부하방지장치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가격이 다른 종류의 과부하방지장치에 비해 비싸다.

② 정지상태에서는 과부하를 감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③ 호이스트, 천장크레인 등 비교적 소형크레인에 많이 활용된다.

④ 권상모터의 전류변화를 CT로 감지하여 크레인을 정지시키는 장치이다.

정답
① 가격이 다른 종류의 과부하방지장치에 비해 비싸다.

해설.
전기식 과부하방지장치 구조가 간단하여 다른 종류의 과부하방지장치에 비해 가격이 싸다.





39. 
천장크레인의 주기적인 정비를 위한 예비품목과 가장거리가 먼 것은?

① 브레이크 라이닝

② 제어반(판넬)

③ 퓨즈

④ 전동기 브러쉬

정답
② 제어반(판넬)

해설.
제어반(판넬)은 천장크레인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장치가 설치된 것으로 품목으로 볼 수 없다.





40. 
제어기(Controler)에 스파크가 심하게 발생하는 고장과 대책 중 틀린 것은?

① 전동기에 과부하가 걸려 있다. - 부하를 적정하게 한다.

② 핑거 및 접촉이 거칠다. - 사포로 다듬질한다.

③ 저항기가 부적당하다. - 적정한 것으로 교환 또는 저항치를 수정한다.

④ 핑거의 조정이 불량하다. - 접촉압력이 1.5kg 정도로 되게끔 재조정한다.

정답
④ 핑거의 조정이 불량하다. - 접촉압력이 1.5kg 정도로 되게끔 재조정한다.

해설.
제어기의 핸들을 움직이면 핑거에 의해 전원이 연결 또는 차단되며, 차단 시 핑거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므로 접촉압력을 조절할 수 없다.





41. 
천장크레인 부품에서 수리한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사용한도 보다 큰 한도로 되어 있다.

② 마모한도라고도 한다.

③ 차기의 검사까지 보증할 여유를 두고 정해진 한도이다.

④ 재료학 관점에서 최후의 한도이다.

정답
③ 차기의 검사까지 보증할 여유를 두고 정해진 한도이다.





42. 
와이어로프를 드럼(Drum)에 설치할 때, 와이어로프가 벗겨지지 않도록 무엇을 사용하여 볼트를 조이는가?

① 클램프(고정구)

② 링크

③ 너트

④ 샤클

정답
① 클램프(고정구)

해설.
와이어로프를 드럼에 고정시킬 때는 클램프로 고정시킨다.





43. 
와이어로프 소선의 마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활차의 지름이 아주 작은 경우에도 마모가 일어난다.

② 와이어로프가 활차의 접촉면에 원만히 접촉하지 않을 경우에도 마모가 일어난다. 

③ 내부의 소선은 다른 물체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마모가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④ 외부의 소선은 다른 물체와 많이 접촉하므로 마모가 쉽게 일어난다.

정답
③ 내부의 소선은 다른 물체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마모가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해설.
와이어로프의 마모에는 표면 외부마모와 내부 소선끼리 부딪쳐서 생기는 내부마모가 있다.





44. 
40ton의 부하물이 있다. 이 부하물을 들어 올리기 위해서는 20mm 직경의 와이어로프를 몇 가닥으로 해야 하는가? 
(단, 20mm 와이어의 절단하중은 20ton이며, 안전계수는 7로 하고, 와이어 자체의 무게는 0으로 계산한다.)

① 2가닥(2줄 걸이)

② 8가닥(8줄 걸이)

③ 14가닥(14줄 걸이)

④ 20가닥(20줄 걸이)

정답
③ 14가닥(14줄 걸이)

해설.
안전계수 = 절단하중/사용안전하중 으로, 
7 = 20/사용안전하중 , 
사용안전하중 ≒ 2.85
 
와이어로프의 가닥 수 = 부하물의 중량/사용안전하중 = 40/2.85 ≒ 14가닥





45. 
와이어로프의 심강을 3가지 종류로 구분한 것은?

① 섬유심, 공심, 와이어심

② 철심, 동심, 아연심

③ 섬유심, 랭심, 동심

④ 와이어심, 아연심, 랭심

정답
① 섬유심, 공심, 와이어심

해설.
와이어로프는 소선 · 스트랜드 · 심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심강은 섬유심 · 공심 · 와이어심 등으로 되어 있다.





46. 
사고의 원인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① 불가항력

② 불안전한 환경

③ 불안전한 행동

④ 불안전한 지시

정답
③ 불안전한 행동

해설.
사고를 많이 발생시키는 순서는 불안전한 행동 - 불안전한 조건 - 불가항력 순이다.





47. 
와이어의 절단부분 양끝이 되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는 철사로 묶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시징(Seizing)

② 킹크(Kink)

③ 스트랜드

④ 파워로크

정답
① 시징(Seizing)

해설.
시징은 한 줄의 와이어로프를 절단하여 사용할 때, 절단된 끝부분이 풀림이 발생하므로 이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로프 끝단을 철사로 감아 마감처리 하는 것을 말한다. 
시징의 폭은 와이어로프 직경의 2~3배가 적당하다.





48. 
와이어로프의 안전율 계산 시 사용하는 절단하중은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규정을 사용하는가?

① KS A 3514

② KS B 3514

③ KS C 3514

④ KS D 3514

정답
④ KS D 3514

해설.
KS 규격 부여 방법 시 A는 기본, B는 기계, C는 전기, D는 금속 등으로 구분하므로 와이어로프는 KS D 3514이다.





49. 
와이어로프(wire rope)의 소선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맞는 것은?

①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소선의 결합에는 점, 선, 면, 정 접촉의 4가지가 있다.

② 소선의 역할은 충격하중의 흡수, 부식방지, 소선끼리의 마찰에 의한 마모방지, 스트랜드의 위치를 올바르게 하는데 있다. 

③ 와이어로프 소선은 KSD 3514에 규정된 탄소강에 특수 열처리를 하여 사용하며 인장강도는 135~180kgf/mm²이다. 

④ 소선의 재질은 탄소강 단강품(KSD 3710)이나 기계구조용 탄소강(KSD 3517)이며 강도와 연성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
③ 와이어로프 소선은 KSD 3514에 규정된 탄소강에 특수 열처리를 하여 사용하며 인장강도는 135~180kgf/mm²이다. 

해설.
옳은 설명

• 소선의 접촉에는 점, 선, 면 접촉구조의 3가지가 있다.
• 심강의 역할은 충격하중의 흡수, 부식방지, 소선끼리의 마찰에 의한 마모방지, 스트랜드의 위치를 올바르게 하는데 있다. 
• 축의 재질은 탄소강 단강품(KSD 3710)이나 기계구조용 탄소강(KSD 3517)이며 강도와 연성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50. 
크레인 와이어로프에 심강을 사용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① 인장하중을 증가시킨다.

② 스트랜드의 위치를 올바르게 유지한다.

③ 소선끼리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한다.

④ 부식을 방지한다.

정답
① 인장하중을 증가시킨다.

해설.
심강의 사용목적

• 충격하중의 흡수
• 부식방지
• 소선끼리의 마찰에 의한 마모방지
• 스트랜드의 위치를 올바르게 유지 





51. 
유류화재 시 소화방법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모래를 뿌린다.

② ABC소화기를 사용한다.

③ B급 화재 소화기를 사용한다.

④ 다량의 물을 부어 끈다.

정답
④ 다량의 물을 부어 끈다.





52. 
공구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손이나 공구에 기름을 바른 다음에 작업할 것

② 주위 환경에 주의해서 작업할 것 

③ 강한 충격을 가하지 않을 것

④ 해머 작업 시 보호안경을 쓸 것

정답
① 손이나 공구에 기름을 바른 다음에 작업할 것

해설.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에 기름이 묻어 있으면 공구 사용 시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깨끗이 닦아낸 다음 작업에 임하여야 한다.





53. 
보호구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① 구조와 끝마무리가 양호해야 한다.

② 착용이 간편해야 한다.

③ 작업에 방해가 안 되어야 한다.

④ 유해 · 위험 요소에 대한 방호성능이 경미해야 한다.

정답
④ 유해 · 위험 요소에 대한 방호성능이 경미해야 한다.

해설.
위험요소에 대한 방호성능이 충분할 것





54. 
작업장에서 일상적인 안전 점검의 가장 주된 목적은?

① 안전작업 표준의 적합 여부를 점검한다.

② 위험을 사전에 발견하여 시정한다.

③ 관련법에 적합 여부를 점검하는데 있다.

④ 시설 및 장비의 설계 상태를 점검한다.

정답
② 위험을 사전에 발견하여 시정한다.

해설.
엔진 점검의 주된 목적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55. 
기계운전 중 안전 측면에서 적합한 것은?

① 작업의 속도 및 효율을 높이기 위해 작업 범위 이외의 기계도 동시에 작동한다.

② 기계운전 중 이상한 냄새, 소음, 진동이 날 때는 정지하고, 전원을 OFF 한다.

③ 빠른 속도로 작업 시는 일시적으로 안전장치를 제거한다.

④ 기계장비의 이상으로 정상가동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중속 회전상태로 작업한다.

정답
② 기계운전 중 이상한 냄새, 소음, 진동이 날 때는 정지하고, 전원을 OFF 한다.

해설.
기계작업 중 안전장치를 제거해서는 안 되며, 장비에 이상이 발생되면 즉시 작업을 중지하고 이상 부위를 점검, 수리한 후 작업에 임한다.





56. 
화재 발생 시 초기 진화를 위해 소화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 다음 보기에서 소화기 사용방법에 따른 순서로 맞는 것은?


① ⓐ → ⓑ → ⓒ → ⓓ

② ⓒ → ⓐ → ⓑ → ⓓ

③ ⓓ → ⓑ → ⓒ → ⓐ

④ ⓑ → ⓐ → ⓓ → ⓒ

정답
④ ⓑ → ⓐ → ⓓ → ⓒ

해설.
소화기 사용순서

・ 안전핀 걸림 장치를 제거한다.
・ 안전핀을 뽑는다.
・ 노즐을 불이 있는 곳으로 향하게 한다.
・ 손잡이를 움켜잡아 분사한다.





57. 
복스 렌치가 오픈 렌치보다 많이 사용되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볼트, 너트 주위를 완전히 감싸게 되어있어서 사용 중에 미끄러지지 않는다.

② 여러 가지 크기의 볼트, 너트에 사용할 수 있다.

③ 값이 싸며, 적은 힘으로 작업할 수 있다.

④ 가볍고, 사용하는데 양손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정답
① 볼트, 너트 주위를 완전히 감싸게 되어있어서 사용 중에 미끄러지지 않는다.





58. 
산업재해 발생원인 중 직접원인에 해당되는 것은?

① 유전적 요소

② 사회적 환경 

③ 불안전한 행동

④ 인간의 결함

정답
③ 불안전한 행동





59. 
안전 · 보건표지의 색채와 관련하여 안내표지의 바탕색은?

① 노란색

② 흰색

③ 파란색

④ 검은색

정답
② 흰색





60. 
ILO(국제노동기구)의 구분에 의한 근로 불능상해의 종류중 응급조치 상해는?

① 1일 미만의 치료를 받고 다음부터 정상작업에 임할 수 있는 정도의 상해

② 2~3일의 치료를 받고 다음부터 정상작업에 임할 수 있는 정도의 상해

③ 1주 미만의 치료를 받고 다음부터 정상작업에 임할 수 있는 정도의 상해

④ 2주 미만의 치료를 받고 다음부터 정상작업에 임할 수 있는 정도의 상해

정답
① 1일 미만의 치료를 받고 다음부터 정상작업에 임할 수 있는 정도의 상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