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
상온에서 무색투명하고, 일반적으로 불쾌한 자극성 냄새를 내는 액체이며 끓는점은 46.45°C(760mmHg)이며 인화점은 -30℃ 정도인 것은?
① SO₂
② HF
③ Cl₂
④ CS₂
정답은,
④ CS₂
해설.
이황화탄소(CS₂)의 특징
• 분자량 : 76.14
• 밀도 : 1.293(0°C, 1atm)
• 끓는점 : 46.45°C(760mmHg)
• 녹는점 : -111.53°C(760mmHg)
• 특징 : 상온에서 무색투명하고, 휘발성이며, 불쾌한 냄새가 나는 유독성 액체
2번.
과잉공기비(m)를 크게 하였을 때(m>1)의 연소 특성으로 옳지 않는 것은?
① 연소가스 중 CO 농도가 높아져 산업공해의 원인이 된다.
② 통풍력이 강하여 배기가스에 의한 열손실이 크다.
③ 배기가스의 온도저하 및 SOx, NOx 등의 생성물이 증가한다.
④ 연소실의 냉각효과를 가져온다.
정답은,
① 연소가스 중 CO 농도가 높아져 산업공해의 원인이 된다.
해설.
과잉공기비(m)가 커진다는 것은 산소의 공급이 증가한다는 의미로, 완전연소가 촉진되어 CO의 농도는 낮아지고 CO₂의 농도가 높아져 산업공해의 발생이 줄어든다.
3번.
다음 설명하는 대기권으로 적합한 것은?
① 열권
② 중간권
③ 성층권
④ 대류권
정답은,
③ 성층권
4번.
여과집진장치에 사용되는 다음 여포재료 중 가장 높은 온도에서 사용이 가능한 것은?
① 목면
② 양모
③ 가네카론
④ 글라스파이버
정답은,
④ 글라스파이버
해설
사용가능 온도
• 목면, 양모 : 80℃
• 가네카론 : 100°C
• 글라스파이버 : 250℃, 신소재 유리섬유로 열에 강하다
5번.
역사적인 대기오염 사건 중 포자리카(Poza Rica) 사건은 주로 어떤 오염물질에 의한 피해였는가?
① O₃
② H₂S
③ PCB
④ MIC
정답은,
② H₂S
해설.
멕시코 포자리카 사건
• 원인물질 : 황화수소(H₂S)
• 기상상태 : 기온역전
• 피해 : 점막자극, 호흡곤란
6번.
다음 압력 중 크기가 다른 하나는?
① 1.013N/m²
② 760mmHg
③ 1,013mbar
④ 1atm
정답은,
① 1.013N/m²
해설.
1atm = 76cmHg = 760mmHg = 1,013mbar = 1.013×10⁵N/m²
7번.
표준상태에서 물 6.6g을 수증기로 만들 때 부피는?
① 5.16L
② 6.22L
③ 7.24L
④ 8.21L
정답은,
④ 8.21L
해설.
표준상태에서 물(H₂O) 1mol(18g)일 때 부피는 22.4L이므로,
18 : 22.4 = 6.6 : 𝑥
18𝑥 = 22.4 × 6.6
𝑥 = 8.21L
8번.
침전지 유입부에 설치하는 정류판(Baffle)의 기능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침전지 유입수의 균일한 분배와 분포
② 침전지 내의 침사물 수집
③ 바람을 막아 표면난류 방지
④ 침전 슬러지의 재부상 방지
정답은,
① 침전지 유입수의 균일한 분배와 분포
해설.
정류판은 침전지 유입구에 설치하여 유속감소와 유량분산을 유도하여 흐름을 양호하게 하는 시설이다.
9번.
Wipple이 구분한 하천의 자정작용 단계 중 용존산소의 농도가 아주 낮거나 때로는 거의 없어 부패상태에 도달하게 되는 지대는?
① 정수지대
② 회복지대
③ 분해지대
④ 활발한 분해지대
정답은,
④ 활발한 분해지대
해설.
활발한 분해지대에서는 유기물 분해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산소 소비량이 최대가 되기 때문에, 용존산소 농도가 극히 낮아져 부패상태에 이르게 된다.
10번.
대기의 상태가 과단열감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매우 불안정하고 심한 와류로 굴뚝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넓은 지역에 걸쳐 분산되지만 지표면에서는 국부적인 고농도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는 연기의 형태는?
① 환상형(Looping)
② 원추형(Coning)
③ 부채형(Fanning)
④ 구속형(Trapping)
정답은,
① 환상형(Looping)
해설.
환상형은 대기가 절대 불안정한 상태이다.
11번.
침전지 또는 농축조에서 설치된 스크레이퍼의 사용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침전물을 부상시키기 위해서
② 스컴(Scum)을 방지하기 위해서
③ 슬러지(Sludge)를 혼합하기 위해서
④ 슬러지(Sludge)를 끌어모으기 위해서
정답은,
④ 슬러지(Sludge)를 끌어모으기 위해서
해설.
스크레이퍼(Scraper)는 침전지 또는 슬러지 농축조 등에서 침전물을 배출구로 끌어모으는 장치이다.
12번.
다음 중 물질 순환속도가 가장 느린 것은?
① 망간
② 탄소
③ 수소
④ 산소
정답은,
① 망간
해설.
금속 원소는 주로 흙과 물속에서 느리게 순환한다.
13번.
바람을 일으키는 3가지 힘 가운데 지구자전에 의한 힘을 나타내는 것은?
① 응집력
② 전향력
③ 마찰력
④ 기압경도력
정답은,
② 전향력
해설.
바람을 일으키는 힘
• 전향력 : 지구자전에 의한 힘(코리올리 힘)
• 마찰력 : 지표에서 풍속에 비례하며 진행방향의 반대로 작용하는 힘
• 기압경도력 : 기압의 차이에 의한 힘(고기압→저기압)
14번.
폐수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때 부상이 침전보다 좋은 점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침전속도가 느린 작거나 가벼운 입자를 짧은 시간 내에 분리시킬 수 있다.
② 침전에 의해 분리되기 어려운 유해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③ 침전에 의해 분리되기 어려운 색도 및 경도 유발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④ 침전속도가 빠르고 큰 입자를 짧은 시간 내에 분리시킬 수 있다.
정답은,
① 침전속도가 느린 작거나 가벼운 입자를 짧은 시간 내에 분리시킬 수 있다.
해설.
입자의 크기가 작을 경우 침전으로 제거하기가 어려워 표면으로 부상시킨 후, 분리하면 빠른 시간 내에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15번.
다음 폐수처리공법 중 고액분리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부상분리법
② 전기투석법
③ 스크리닝
④ 원심분리법
정답은,
② 전기투석법
해설.
고액분리방법은 부유 물질과 콜로이드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부상분리법, 원심분리법, 스크리닝 등이 있다.
전기투석법은 전기장을 구동력으로 하여 이온성 물질을 분리하는 막분리 공정이다.
16번.
유기물의 호기성 분해 시 최종산물은?
① 물과 이산화탄소
② 일산화탄소와 메탄
③ 이산화탄소와 메탄
④ 물과 일산화탄소
정답은,
① 물과 이산화탄소
17번.
활성슬러지법으로 처리한 슬러지의 탈수 후 무게가 150kg이고, 항량으로 건조한 후의 무게가 35kg이라면 탈수 후 슬러지의 수분함량(%)은?
① 46.7
② 56.7
③ 66.7
④ 76.7
정답은,
④ 76.7
해설.
수분함량 = (건조 전 무게−건조 후 무게)/건조 전 무게 × 100 = (150−35)/150 × 100 = 76.67%
18번.
명반(Alum)을 폐수에 첨가하여 응집처리 할 때, 투입조에 약품 주입 후 응집조에서 완속교반을 행하는 주된 목적은?
① 명반이 잘 용해되도록 하기 위해
② Floc과 공기와의 접촉을 원활히 하기 위해
③ 형성되는 Floc을 가능한 한 뭉쳐 밀도를 키우기 위해
④ 생성된 Floc을 가능한 한 미립자로 하여 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정답은,
③ 형성되는 Floc을 가능한 한 뭉쳐 밀도를 키우기 위해
해설.
응집제 첨가 후 교반을 적절히 해주어야 더 많은 Floc이 형성되어 비중이 증가함과 동시에 침전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교반의 속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너무 빨리 교반할 경우 와류가 형성되어 플록 형성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가급적이면 완속교반을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19번.
알칼리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산이 유입될 때 이를 중화시킬 수 있는 능력의 척도이다.
② 0.01N NaOH로 적정하여 소비된 양을 탄산칼슘의 당량으로 환산하여 mg/L로 나타낸다.
③ 중탄산염이 많이 포함된 물을 가열하면 CO₂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물 속에 OH⁻가 존재하므로 알칼리성을 띠게 된다.
④ 일반적으로 자연수에 존재하는 이온 중 알칼리도에 기여하는 물질의 강도는 OH⁻ > CO₃²⁻ > HCO₃⁻ 순이다.
정답은,
② 0.01N NaOH로 적정하여 소비된 양을 탄산칼슘의 당량으로 환산하여 mg/L로 나타낸다.
해설.
알칼리도는 수중의 수산화물(OH), 탄산염(CO₃²⁻), 중탄산염(HCO₃⁻)의 형태로 함유되어 있는 성분을 0.02N-H₂SO₄로 적정하여 이에 대응하는 탄산칼슘의 형태로 환산하여 mg/L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20번.
다음 중 슬러지 팽화의 지표로서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① 함수율
② SVI
③ TSS
④ NBDCOD
정답은,
② SVI
해설.
SVI(Sludge Volume Index)는 활성슬러지의 침전가능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슬러지 팽화 여부를 확인하는 지표이다.
• 50~150 : 정상침강
• 200 이상 : 슬러지 팽화현상 발생
21번.
A침전지가 6,000m³/d의 하수를 처리한다. 유입수의 SS농도가 150mg/L, 유출수의 SS농도가 90mg/L 라면, 이 침전지의 SS제거율(%)은?
① 60%
② 50%
③ 40%
④ 30%
정답은,
③ 40%
해설.
SS 제거율(%) = (1 - 유출수의 SS농도/유입수의 SS농도 ) × 100 = (1-90/150) ×100 = 40%
22번.
폐수처리에서 여과공정에 사용되는 여재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모래
② 무연탄
③ 규조토
④ 유리
정답은,
④ 유리
해설.
폐수처리에서 여과공정에 사용되는 여재로는 모래, 자갈, 규조토, 분쇄된 무연탄(Anthracite) 등이 있다.
유리는 다공질이 아닌 물질로서 여재로 부적합하다.
23번.
A공장 폐수의 BOD가 800ppm이다.
유입폐수량이 1,000m³/h일 때, 1일 BOD 부하량은?
(단, 폐수의 비중은 1.0이고, 24시간 연속 가동한다)
① 19.2t/d
② 20.2t/d
③ 21.2t/d
④ 22.2t/d
정답은,
① 19.2t/d
해설.
BOD 농도 800ppm = 800g/m³ = 0.8kg/m³
BOD 부하량 = BOD농도 × 유입폐수량 =0.8(kg/m³) × 1,000(m³/h) × 24(h/d) = 19,200kg/d = 19.2t/d
24번.
경도(Hardness)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SO₄²⁻, NO₃⁻, CI⁻와 화합물을 이루고 있을 때 나타나는 경도를 영구경도라고도 한다.
② 경도가 높은 물은 관로의 통수저항을 감소시켜 공업용수(섬유제지 등)로 적합하다.
③ 탄산경도는 일시경도라고도 한다.
④ Na⁺은 경도를 유발하는 이온은 아니지만 그 농도가 높을 때 경도와 비슷한 작용을 하므로 유사경도라 한다.
정답은,
② 경도가 높은 물은 관로의 통수저항을 감소시켜 공업용수(섬유제지 등)로 적합하다.
해설.
경도가 높은 물은 배관 부위에 물 때(Scale)를 형성시켜 열전도율을 감소시키거나 관로의 통수저항을 증가시켜 식수는 물론 공업용수로도 부적합하다.
25번.
슬러지를 농축시킴으로써 얻는 이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소화조 내에서 미생물과 양분이 잘 접촉할 수 있으므로 효율이 증대된다.
② 슬러지 개량에 소모되는 약품이 적게 든다.
③ 후속처리 시설인 소화조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④ 난분해성 중금속의 완전제거가 용이하다.
정답은,
④ 난분해성 중금속의 완전제거가 용이하다.
해설.
슬러지 농축은 미생물을 이용해 약품을 적게 사용해 최종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며, 난분해성 중금속은 미생물이 분해할 수 없으므로 제거할 수 없다.
26번.
수질관리를 위해 대장균군을 측정하는 주목적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① 다른 수인성 병원균의 존재 가능성을 알기 위하여
② 호기성 미생물 성장가능 여부를 알기 위하여
③ 공장폐수의 유입 여부를 알기 위하여
④ 수은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정답은,
① 다른 수인성 병원균의 존재 가능성을 알기 위하여
해설.
대장균 자체는 아무런 해가 없으나, 사람이나 가축의 대장에 서식하는 균의 유무를 통해 다른 수인성 병원균의 존재 가능성을 추측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미생물을 지표 미생물이라 한다.
27번.
상수처리에 사용되는 오존살균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저장이 어려우므로 오존발생기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생산한다.
② 오존은 HOCI보다 더 강력한 산화제이다.
③ 상수의 최종살균을 위해 가장 권장되는 방법이다.
④ 수용액의 오존은 매우 불안정하여 20℃의 증류수에서의 반감기는 20~30분 정도이다.
정답은,
③ 상수의 최종살균을 위해 가장 권장되는 방법이다.
해설.
오존살균은 전기로 산소를 발생시켜 오존을 생성해야 하므로, 유지비 및 초기 투자비가 염소살균보다 비싸서 상수처리공정에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
정수나 하수처리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살균제는 염소이다.
28번.
0.05N-HCI 용액의 pH는 얼마인가?
(단, HCI은 100% 이온화한다)
① 1
② 1.3
③ 3
④ 5
정답은,
② 1.3
해설.
염산(HCl)의 해리식
HCl → H⁺ + Cl⁺
염산(HCl)은 1가의 산이므로, 노르말 농도와 몰 농도가 같다.
따라서, H⁺의 농도값은 0.05M이므로,
pH = -log[H⁺] = -log[0.05] = 1.3
29번.
부유물질(SS)의 측정대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특정용매에 용해되어 있는 액체상 물질
② 기름상의 물질
③ 생물학적으로 분해되는 유기물질
④ 여과에 의하여 분리되는 물질
정답은,
④ 여과에 의하여 분리되는 물질
해설.
유리섬유여과지를 이용해 여과하여 분리한 후, 무게 측정을 통해 부유물질의 양을 측정한다.
30번.
합성차수막 중 PVC의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작업이 용이하다.
② 강도가 높다.
③ 접합이 용이하다.
④ 자외선, 오존, 기후에 강하다.
정답은,
④ 자외선, 오존, 기후에 강하다.
해설.
자외선, 오존, 기후에 약하다.
31번.
소각시설의 연소온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는 것은?
① 발열량이 높은 연료사용
② 공기량의 과다주입
③ 연료의 예열
④ 연료의 완전연소
정답은,
② 공기량의 과다주입
해설.
과잉공기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연소실의 온도가 저하된다.
32번.
62.5m³/h의 폐수가 24시간 균일하게 유입되는 폐수처리장의 침전지에서 이 침전지의 월류부하를 100m³/m·d로 할 때, 월류위어의 유효길이는?
① 10m
② 12m
③ 15m
④ 50m
정답은,
③ 15m
해설.
월류위어의 유효길이 = 유량/월류부하 = 62.5(m³/h)×24(h/d)/100(m³/m·d) = 15m
33번.
다음 중 크롬 함유 폐수처리 시 사용되는 크롬환원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NH₂SO₄
② Na₂SO₃
③ FeSO₄
④ SO₂
정답은,
① NH₂SO₄
해설.
크롬환원제
• 아황산가스(SO₂)
• 아황산나트륨(Na₂SO₃)
• 중아황산나트륨(NaHSO₃)
• 황산제1철(FeSO₄)
• 메타중아황산나트륨(Na₂S₂O₅)
34번.
수질오염 공정시험기준에 의거 부유물질(SS)을 측정하고자 할 때 반드시 필요한 것은?
① 배지
② Gas Chromatography
③ 배양기
④ GF/C 여지
정답은,
④ GF/C 여지
35번.
Cr⁶⁺ 함유 폐수처리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환원 → 침전 → 중화
② 환원 → 중화 → 침전
③ 중화 → 침전 → 환원
④ 중화 → 환원 → 침전
정답은,
② 환원 → 중화 → 침전
해설.
6가크롬 처리법(환원침전법)
환원(3가크롬화) → 중화(NaOH 주입) → 침전(pH 8~11 범위) 후 제거
36번.
다음 중 로터리킬른 방식의 장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열효율이 높고, 적은 공기비로도 완전연소가 가능하다.
② 예열이나 혼합 등 전처리가 거의 필요 없다.
③ 드럼이나 대형 용기를 파쇄하지 않고 그대로 투입할 수 있다.
④ 공급장치의 설계에 있어서 유연성이 있다.
정답은,
① 열효율이 높고, 적은 공기비로도 완전연소가 가능하다.
해설.
로터리킬른은 일명 회전로라 하며 열효율이 낮고, 투자비에 비해 소각능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37번.
쓰레기 수거노선을 설정할 때의 유의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가능한 한 간선도로 부근에서 시작하고 끝나도록 한다.
② 언덕길은 내려가면서 수거한다.
③ 발생량이 많은 곳은 하루 중 가장 먼저 수거한다.
④ 가능한 한 시계 반대방향으로 수거노선을 정한다.
정답은,
④ 가능한 한 시계 반대방향으로 수거노선을 정한다.
해설.
가능한 한 시계방향으로 수거노선을 정한다.
38번.
매립시설에서 복토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빗물 배제
② 화재 방지
③ 식물성장 방지
④ 쓰레기 비산방지
정답은,
③ 식물성장 방지
해설.
복토는 식물의 성장을 촉진한다.
39번.
폐기물 발생량의 산정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적재차량 계수분석
② 직접계수법
③ 간접계수법
④ 물질수지법
정답은,
③ 간접계수법
해설.
폐기물 발생량 조사방법
적재차량 계수분석법, 직접계근법, 물질수지법, 원자재 사용량으로 추정하는 방법
40번.
Dulong(듀롱)의 공식을 적용하여 슬러지의 건조무게당 발열량을 구하는 방법은?
① 원소분석법
② 근사치분석법
③ 열량계법
④ 열분해법
정답은,
① 원소분석법
41번.
RDF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RDF는 Refuse Derived Fuel의 약자이다.
② 폐기물 중의 가연성 성분만을 선별하여 함수율, 불순물, 입경 등을 조절하여 연료화시킨 것이다.
③ 부패하기 쉬운 유기물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분함량이 증가하면 부패한다.
④ 시설비 및 동력비가 저렴하며, 운전이 용이하다.
정답은,
④ 시설비 및 동력비가 저렴하며, 운전이 용이하다.
해설.
RDF(Refuse Derived Fuel)
가연성 생활 폐기물을 이용해 고체연료를 만드는 것으로 PVC(염화비닐수지), 수분, 불에 타지 않는 철 · 캔 등 비가연성 물질을 제외한 쓰레기를 원료로 사용하여 편리하지만 시설비, 동력비가 많이 들고 운전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42번.
다음에서 설명하는 폐기물 안정화법은?
① 유리화법
② 석회기초법
③ 시멘트기초법
④ 열가소성 플라스틱법
정답은,
③ 시멘트기초법
43번.
쓰레기 1톤을 건조시킨 후, 무게를 측정하였더니 550kg이 되었다면 수분함량은?
① 35%
② 45%
③ 55%
④ 85%
정답은,
② 45%
해설.
건조 전 무게 × (100-건조 전 함수율) = 건조 후 무게 × (100-건조 후 함수율)
1,000 × (100-건조 전 함수율) = 550 × (100-0)
건조 전 함수율 = 45%
44번.
다음에서 설명하는 매립시설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덮개시설
② 차수시설
③ 저류 구조물
④ 지하수 검사실
정답은,
② 차수시설
해설.
차수시설 설치의 목적
폐기물의 분해, 강우 등에 따른 침출수의 유출방지, 매립지 내부로의 지하수 유입방지
45번.
A도시의 쓰레기를 분류하여 다음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쓰레기의 평균 함수율(%)은?
① 15%
② 18%
③ 21%
④ 24%
정답은,
③ 21%
해설.
평균 함수율(%) = {(0.5×0.1)+(0.3×0.5)+(0.2×0.05)} × 100 = 21%
46번.
폐기물의 재활용과 감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실시할 수 있는 제도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예치금 제도
② 환경영향평가
③ 부담금 제도
④ 쓰레기 종량제
정답은,
② 환경영향평가
해설.
폐기물 재활용 및 감량화 제도
• 예치금 제도
• 부담금 제도
• 쓰레기 종량제
47번.
폐기물 파쇄 전후의 입자크기와 입자크기분포를 이해하는 것은 폐기물 특성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특성입경은 입자의 무게기준으로 몇 %가 통과할 수 있는 체 눈의 크기를 말하는가?
① 36.8%
② 50%
③ 63.2%
④ 80.7%
정답은,
③ 63.2%
해설.
• 평균입자크기 : 입자 무게기준 50%를 통과한 체 크기
• 특정입자크기 : 입자 무게기준 63.2%를 통과한 체 크기
48번.
하부에서 뜨거운 가스로 모래를 가열하여 부상시키고, 상부에서는 폐기물을 주입하여 소각시키는 형태의 소각로는?
① 액체 주입형 소각로
② 화격자 소각로
③ 회전형 소각로
④ 유동상 소각로
정답은,
④ 유동상 소각로
49번.
다음 중 해안매립공법에 해당하는 것은?
① 셀공법
② 도량형공법
③ 순차투입공법
④ 샌드위치공법
정답은,
③ 순차투입공법
해설.
해안매립공법
수중투기공법, 순차투입공법, 박층뿌림공법
50번.
폐기물의 파쇄작용이 일어나게 되는 힘의 3종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압축력
② 전단력
③ 원심력
④ 충격력
정답은,
③ 원심력
해설.
파쇄원리는 압축력, 전단력, 충격력이다.
51번.
폐기물의 3성분이라 볼 수 없는 것은?
① 수분
② 무연분
③ 회분
④ 가연분
정답은,
② 무연분
해설.
폐기물의 3성분
수분, 회분, 가연분(휘발성 고형분)
52번.
폐기물의 저위발열량(LHV)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HHV: 폐기물의 고위발열량(kcal/kg), H: 폐기물의 원소분석에 의한 수소 조성비(kg/kg), W: 폐기물의 수분 함량(kg/kg), 600: 수증기 1kg의 응축열(kcal)]
① LHV = HHV - 600W
② LHV = HHV - 600(H+W)
③ LHV = HHV - 600(9H+W)
④ LHV = HHV + 600(9H+W)
정답은,
③ LHV = HHV - 600(9H+W)
해설.
저위발열량 = 고위발열량 - 600×(9×수소의 함량 + 수분의 함량)
53번.
유해 폐기물의 국가 간 불법적인 교역을 통제하기 위한 국제협약은?
① 교토의정서
② 바젤협약
③ 리우협약
④ 몬트리올 의정서
정답은,
② 바젤협약
해설.
• 교토의정서 : 지구 온난화방지 및 기후변화협약
• 리우협약 :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협약
• 몬트리올 의정서 : 오존층 파괴 물질인 염화플루오린화탄소(CFCs)의 생산과 사용을 규제하기 위한 협약
54번.
폐기물 공정시험기준에서 방울수라 함은 20℃에서 정제수 몇 방울을 적하할 때 그 부피가 약 1mL가 되는 것을 의미하는가?
① 5
② 10
③ 20
④ 50
정답은,
③ 20
해설.
방울수라 함은 20℃에서 정제수 20방울을 적하할 때, 그 부피가 약 1mL가 되는 것을 뜻한다.
55번.
폐기물을 파쇄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겉보기 밀도의 증가
② 고체의 치밀한 혼합
③ 부식효과 방지
④ 비표면적의 증가
정답은,
③ 부식효과 방지
해설.
폐기물의 파쇄의 목적
• 겉보기 밀도 증가
• 고체의 치밀한 혼합
• 부식효과 증대
• 비표면적의 증가
56번.
다음 중 유기성 액상 폐기물을 호기성 분해시킬 때 미생물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기간은?
① 고정기
② 대수증식기
③ 휴지기
④ 사멸기
정답은,
② 대수증식기
해설.
대수증식기에 미생물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57번.
마스킹 효과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저음이 고음을 잘 마스킹한다.
② 두 음의 주파수가 비슷할 때는 마스킹 효과가 대단히 커진다.
③ 두 음의 주파수가 거의 같을 때는 Doppler 현상에 의해 마스킹 효과가 커진다.
④ 음파의 간섭에 의해 일어난다.
정답은,
③ 두 음의 주파수가 거의 같을 때는 Doppler 현상에 의해 마스킹 효과가 커진다.
해설.
두 음의 주파수가 거의 같을 때에는 맥동이 생겨 마스킹 효과가 감소한다.
58번.
방음대책을 음원대책과 전파경로대책으로 분류할 때, 다음 중 주로 전파경로대책에 해당하는 것은?
① 방음벽 설치
② 소음기 설치
③ 발생원의 유속저감
④ 발생원의 공명방지
정답은,
① 방음벽 설치
해설.
방음벽 설치는 전파경로대책에 속하며, 음원과 수음점 사이에 설치된다.
소음기 설치, 발생원의 유속저감, 발생원의 공명방지는 모두 음원대책이다.
59번.
진동수가 250Hz이고 파장이 5m인 파동의 전파속도는?
① 50m/s
② 250m/s
③ 750m/s
④ 1,250m/s
정답은,
④ 1,250m/s
해설.
전파속도 = 진동수 × 파장 = 250 × 5 = 1,250m/s
60번.
퇴비화 시 부식질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토양능의 완충능을 증가시킨다.
② 토양의 구조를 양호하게 한다.
③ 가용성 무기질소의 용출량을 증가시킨다.
④ 용수량을 증가시킨다.
정답은,
③ 가용성 무기질소의 용출량을 증가시킨다.
해설.
부식질은 가용성 무기질소의 용출량을 감소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