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
다음 중 광화학 스모그 발생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질소산화물
② 일산화탄소
③ 올레핀계 탄화수소
④ 태양광선
정답은,
② 일산화탄소
해설.
광화학 스모그는 자동차의 배기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질소산화물(NOx)과 탄화수소(HC) 등 대기오염물질이 강한 태양광선(자외선)을 받아 발생한다.
일산화탄소는 불완전연소의 산물로, 광화학 스모그와는 관계가 없다.
2번.
다음 중 대기오염물질 중 1차 생성오염물질은?
① CO₂
② PAN
③ O₃
④ H₂O₂
정답은,
① CO₂
해설.
대기오염물질
• 1차 오염물질: NH₃, HCI, H₂S, CO, CO₂, H₂ 등
• 2차 오염물질: O₃, H₂O₂, PAN, 알데하이드 등
3번.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상 배출가스 중 질소산화물의 연속자동측정방법이 아닌 것은?
① 화학발광법
② 적외선흡수법
③ 자외선흡수법
④ 용액전도율법
정답은,
④ 용액전도율법
해설.
질소산화물의 연속자동측정방법
화학발광법, 적외선흡수법, 자외선흡수법 및 정전위전해법
4번.
다음 중 적환장을 설치할 필요성이 가장 낮은 경우는?
① 공기수송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② 폐기물 수집에 대형 컨테이너를 많이 사용하는 경우
③ 처분장이 원거리에 있어 도중에 불법 투기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
④ 처분장이 멀리 떨어져 있어 소형 차량에 의한 수송이 비경제적일 경우
정답은,
② 폐기물 수집에 대형 컨테이너를 많이 사용하는 경우
해설.
폐기물 수집에 대형 컨테이너를 많이 사용하는 경우는 적환장의 설치가 불필요하다.
5번.
유해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설치한 가로 30cm, 세로 50cm인 직사각형 송풍관의 상당직경(De)은?
① 37.5cm
② 38.5cm
③ 39.5cm
④ 40.0cm
정답은,
① 37.5cm
해설.
상당직경 = 2×(가로길이×세로길이)/(가로길이+세로길이) = (2×30×50)/(30+50) = 37.5cm
6번.
유해가스 처리기술 중 헨리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가스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흡수
② 흡착
③ 연소
④ 집진
정답은,
① 흡수
해설.
헨리의 법칙은 일정한 온도에서 기체의 용해도는 그 기체의 분압에 비례한다는 법칙으로, 압력이 높아질수록 액체에 더 많은 기체가 녹아든다.
7번.
세정집진장치의 유지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먼지의 성상과 처리가스농도를 고려하여 액가스 비를 결정한다.
② 목부는 처리가스의 속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마모가 일어나기 쉬우므로 수시로 점검하여 교환한다.
③ 기액분리기는 시설의 작동이 정지해도 잠시 공회전을 하여 부착된 먼지에 의한 산성의 세정수를 제거해야 한다.
④ 벤투리형 세정기에서 집진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능한 한 처리가스 온도를 높게 하여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은,
④ 벤투리형 세정기에서 집진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능한 한 처리가스 온도를 높게 하여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설.
벤투리형 세정기는 낮은 온도에서 높은 유해가스 제거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8번.
함진가스를 방해판에 충돌시켜 기류의 급격한 방향 전환을 이용하여 입자를 분리 · 포집하는 집진장치는?
① 중력집진장치
② 전기집진장치
③ 여과집진장치
④ 관성력집진장치
정답은,
④ 관성력집진장치
해설.
관성력집진장치는 뉴턴의 관성의 법칙을 이용한 것으로, 함진가스를 방해판에 충돌시키거나 기류를 급격하게 방향 전환시켜 입자를 관성력에 의하여 분리 · 포집하는 장치이다.
9번.
원심력 집진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한 편이다.
② 압력손실이 20mmH₂O 정도로 작고, 고집진율을 얻기 위한 전문적인 기술이 불필요하다.
③ 점(흡)착성 배출가스 처리는 부적합하다.
④ 블로다운 효과를 사용하여 집진효율 증대가 가능하다.
정답은,
② 압력손실이 20mmH₂O 정도로 작고, 고집진율을 얻기 위한 전문적인 기술이 불필요하다.
해설.
압력손실은 50~150mmH₂O 정도이며, 고집진율을 얻기 위한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하다.
10번.
슬러지를 210℃ 정도로 가열하고, 120atm 정도로 가압시켜, 슬러지 내의 유기물이 공기에 의해 산화되도록 하는 공법은?
① 가열 건조
② 습식 산화
③ 혐기성 산화
④ 호기성 소화
정답은,
② 습식 산화
11번.
집진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사이클론은 여과집진장치에 해당된다.
② 중력집진장치는 고효율 집진장치에 해당된다.
③ 여과집진장치는 수분이 많은 먼지처리에 적합하다.
④ 전기집진장치는 코로나방전을 이용하여 집진하는 장치이다.
정답은,
④ 전기집진장치는 코로나방전을 이용하여 집진하는 장치이다.
해설.
옳은 설명
• 사이클론은 원심력집진장치에 해당된다.
• 중력집진장치는 대표적인 저효율 집진장치에 해당된다.
• 여과집진장치는 수분이 포함된 경우 처리가 어렵기 때문에 건조한 먼지처리에 적합하다.
12번.
중량비가 C : 86%, H : 4%, Ο : 8%, S : 2%인 석탄을 연소할 경우 필요한 이론산소량은?
① 약 1.6Sm³/kg
② 약 1.8Sm³/kg
③ 약 2.0Sm³/kg
④ 약 2.26Sm³/kg
정답은,
② 약 1.8Sm³/kg
해설.
이론산소량 공식
1.867C+5.6(H-O/8) +0.7S = (1.867×0.86)+5.6(0.04-0.08/8) + (0.7×0.02) ≒ 1.8Sm³/kg
13번.
다음 중 Optical Sorter(광학분류기)를 이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종이와 플라스틱의 분리
② 색유리와 일반유리 분리
③ 딱딱한 물질과 물렁한 물질의 분리
④ 유기물과 무기물의 분리
정답은,
② 색유리와 일반유리 분리
해설.
광학분류기(Optical Sorter)는 투명한 것과 불투명한 것의 분리에 사용된다.
14번.
질소산화물의 발생을 억제하는 연소방법이 아닌 것은?
① 저과잉 공기비 연소법
② 고온 연소법
③ 2단 연소법
④ 배기가스 재순환법
정답은,
② 고온 연소법
해설.
질소산화물은 고온상태에서 발생하기 쉬우므로 연소온도를 낮추어야 한다.
15번.
다음 중 선택적인 촉매환원법으로 질소산화물을 처리할 때 사용되는 환원제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수산화칼슘
② 암모니아
③ 염화수소
④ 플루오린화수소
정답은,
② 암모니아
해설.
선택적 촉매환원법(SCR) 환원제
• 암모니아(NH₃)
• 일산화탄소(CO)
• 탄화수소(HC)
16번.
유기성 폐기물 매립장(혐기성)에서 가장 많이 발생되는 가스는?
단, 정상상태(Steady-State)이다
① 일산화탄소
② 이산화질소
③ 메탄
④ 부탄
정답은,
③ 메탄
해설.
정상상태의 매립지에서 혐기성 분해과정을 통해 발생되는 가스는 주로 메탄(55%)과 이산화탄소(45%)이다.
17번.
다음 중 비점오염원에 해당하는 것은?
① 농경지 배수
② 폐수처리장 방류수
③ 축산폐수
④ 공장의 산업폐수
정답은,
① 농경지 배수
해설.
비점오염원은 불특정 장소에서 면적단위로 수질오염물질이 배출되는 배출원으로, 대표적으로 농경지 배수가 있다.
18번.
다음 ( ) 안에 가장 적합한 수질오염물질은?
① 수은
② 페놀
③ PCB
④ 카드뮴
정답은,
④ 카드뮴
19번.
하천이 유기물로 오염되었을 경우 자정과정을 오염원으로부터 하천 유하거리에 따라 분해지대, 활발한 분해지대, 회복지대, 정수지대의 4단계로 구분한다.
다음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단계는?
① 분해지대
② 활발한 분해지대
③ 회복지대
④ 정수지대
정답은,
② 활발한 분해지대
20번.
하부로부터 가스를 주입하여 모래를 부상시켜 이를 가열하고 상부에서 폐기물을 주입하여 태우는 형식의 소각로는?
① 고정상 소각로
② 화격자 소각로
③ 유동층 소각로
④ 열분해 용융 소각로
정답은,
③ 유동층 소각로
해설.
유동층 소각로
• 하단으로 가스를 주입하여 모래를 띄운 후, 이를 가열시키고 상부에서 폐기물 주입하는 방식
• 상의 온도는 750~850°C
• 특수(사업장) 폐기물의 소각에 주로 이용
21번.
다음 중 6가크롬(Cr⁺⁶) 함유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방법은?
① 아말감법
② 환원침전법
③ 오존산화법
④ 충격법
정답은,
② 환원침전법
해설.
6가크롬 처리계통도(환원침전법)
환원(3가크롬화) → 중화(NaOH 주입) → 침전(pH 8~11 범위) 후 제거
22번.
플루오린 제거를 위하여 가장 많이 이용되는 폐수처리 방법은?
① 화학침전
② 물리침전
③ 생물침전
④ 자연침전
정답은,
① 화학침전
해설.
플루오린 처리방법(화학침전)
플루오린 함유 폐수에 과량의 소석회를 투입하여 pH를 10 이상으로 올린 후 인산을 첨가하여 플루오린 제거효율을 높인다.
충분히 교반시켜 반응을 완료시킨 후 황산이나 염산으로 중화해 응집침전 시키는 화학적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23번.
하 · 폐수처리공정 중 활성탄의 일반적인 용도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응집, 침전한 후 색깔의 제거
② 다량의 기름 제거
③ 냄새가 나는 물의 탈취
④ 하수 중의 미량 중금속의 제거
정답은,
② 다량의 기름 제거
해설.
활성탄은 강력한 흡착력을 이용하여 하 · 폐수의 냄새, 맛, 색도, 미량의 탁질 및 COD, THM 등을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기름 제거는 부상법을 활용한다.
24번.
생물학적 처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주로 유기성 폐수의 처리에 적용한다.
② 미생물을 이용한 처리방법으로 호기성 처리방법에는 부패조 등이 있다.
③ 살수여상은 부착성장식 생물학적 처리공법이다.
④ 산화지는 자연에 의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활성슬러지법에 비해 적정처리가 어렵다.
정답은,
② 미생물을 이용한 처리방법으로 호기성 처리방법에는 부패조 등이 있다.
해설.
생물학적 처리방법에는 호기성 처리방법과 혐기성 처리방법이 있다.
호기성 처리방법은 활성슬러지법, 살수여상법, 산화지법이있고, 혐기성 처리방법은 부패조 등이 있다.
25번.
회전원판 접촉법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① 호기성 처리
② 고밀도 폴리에틸렌
③ 폭기기
④ 생물학적 처리
정답은,
③ 폭기기
해설.
회전원판 접촉법은 폭기장치(산소 공급장치)가 필요없다.
26번.
다양한 크기를 가진 혼합 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주로 큰 폐기물로부터 후속 처리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선별방법은?
① 손 선별
② 스크린 선별
③ 공기 선별
④ 자석 선별
정답은,
② 스크린 선별
해설.
• 손 선별: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하여 손으로 종이류, 플라스틱·금속류, 유리류를 선별
• 자석 선별: 철 성분을 회수할 경우에 사용
• 공기선별: 폐기물 내의 가벼운 종이나 플라스틱을 기타 무거운 물질로부터 선별
27번.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상 따로 규정이 없는 한 감압 또는 진공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5mmHg 이하
② 10mmHg 이하
③ 15mmHg 이하
④ 20mmHg 이하
정답은,
③ 15mmHg 이하
해설.
'감압 또는 진공'이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g 이하를 뜻한다.
28번.
다음 오염물질 함유 폐수 중 알칼리 조건하에서 염소처리(산화)가 필요한 것은?
① 시안(CN)
② 알루미늄(Al)
③ 6가크롬(Cr⁺⁶)
④ 아연(Zn)
정답은,
① 시안(CN)
해설.
시안(CN) 함유 폐수에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알칼리염소법으로, 알칼리염소법은 시안을 함유한 폐수를 알칼리성으로 하고 차아염소산이나 염소 등의 산화제를 이용하여 시안을 산화시키는 방법이다.
29번.
수질관리를 위해 대장균군을 측정하는 주목적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① 유기물질의 오염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② 수질의 미생물 성장 가능 여부를 알기 위하여
③ 공장폐수의 유입 여부를 알기 위하여
④ 다른 수인성 병원균의 존재 가능성을 알기 위하여
정답은,
④ 다른 수인성 병원균의 존재 가능성을 알기 위하여
해설.
대장균 자체는 아무런 해가 없으나, 사람이나 가축의 대장에 서식하는 균의 유무를 통해 다른 수인성 병원균의 존재 가능성을 추측할 수 있으며, 이러한 미생물을 지표 미생물이라 한다.
30번.
개방유로의 유량측정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정한 수위와 유속을 유지하기 위해 침사지의 폐수가 배출되는 출구에 설치하는 장치는?
① 그릿(Grit)
② 스크린(Screen)
③ 배출관(Out-flow Tube)
④ 위어(Weir)
정답은,
④ 위어(Weir)
해설.
• 위어(Weir): 침전지 내 슬러지 배출관이다.
• 그릿(Grit): 폐수장에서 제거되는 무기물, 유기물이다.
• 스크린(Screen): 오염물질을 스크린의 크기에 따라 거르는 장치이다.
• 배출관(Out-flow Tube): 폐수 내 큰 부유물이나 부상물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하는 장치이다.
31번.
상수처리에서 완속여과법과 비교한 급속여과법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실트, 조류, 금속산화물 등의 현탁물 외에 점토, 세균, 바이러스, 색도성분 등의 콜로이드 성분이 제거 가능하나, 용해성분인 암모니아성 질소, 페놀류, 냄새성분 등에 대해서는 제거효율이 낮다.
② 여과속도에 따라 120~150m/day의 표준여과 및 200~300m/day 이상의 고속여과로 구분할 수 있다.
③ 잔류염소를 포함하지 않는 물을 여과하는 경우, 수온이 높은 시기에는 여재 표면에 증식한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암모니아성 질소 등의 용해성분 일부가 제거되는 경우도 있다.
④ 여과 시 손실수두가 작고, 원칙적으로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처리하는 방법이다.
정답은,
④ 여과 시 손실수두가 작고, 원칙적으로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처리하는 방법이다.
해설.
급속여과법은 여과 시 손실수두가 크고, 약품(응집제)를 사용해 물을 정화하는 방법이다.
32번.
다음 중 폐기물의 퇴비화 시, 적정 C/N비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1~2
② 1~10
③ 5~10
④ 25~50
정답은,
④ 25~50
해설.
C/N비는 탄소(C)와 질소(N)성분의 비율로 낮을 경우 악취가 발생된다.
퇴비화를 진행시키기 위한 적정 C/N비는 25~35이다.
33번.
다음은 미생물의 성장단계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는?
① 내생호흡기
② 지체기
③ 감소성장기
④ 대수성장기
정답은,
② 지체기
34번.
폐수처리에 이용되는 미생물의 구분 중 다음 ( ) 안에 가장 적합한 용어는?
① 자산성
② 호기성
③ 혐기성
④ 통기성
정답은,
③ 혐기성
해설.
미생물은 산소가 있는 곳에서 생장하는 호기성 미생물과 산소를 싫어하지만 산소가 없는 곳에서도 생장할 수 있는 혐기성 미생물로 구분한다.
35번.
생물학적 원리를 이용한 하ㆍ폐수고도처리공법 중 A/O 공법의 일반적인 공정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혐기조 → 호기조 → 침전지
② 무산소조 → 호기조 → 무산소조 → 재포기조 → 침전지
③ 호기조 → 무산소조 → 침전지
④ 혐기조 → 무산소조 → 호기조 → 무산소조 → 침전지
정답은,
① 혐기조 → 호기조 → 침전지
해설.
A/O 공법
혐기조 → 호기조 → 침전지로 구성된 대표적인 인(P) 제거 공정으로, 생물학적 처리법이다.
36번.
다음 중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생산된 퇴비는 비료가치가 높으며, 퇴비 완성 시 부피감소율이 70% 이상으로 큰 편이다.
② 초기 시설투자비가 낮고, 운영 시 소요에너지도 낮은 편이다.
③ 다른 폐기물 처리기술에 비해 고도의 기술수준이 요구되지 않는다.
④ 퇴비제품의 품질표준화가 어렵고, 부지가 많이 필요한 편이다.
정답은,
① 생산된 퇴비는 비료가치가 높으며, 퇴비 완성 시 부피감소율이 70% 이상으로 큰 편이다.
해설.
생산된 퇴비는 비료가치가 낮으며, 퇴비 완성 시 부피감소율이 50% 이하로 크지 않은 편이다.
37번.
분뇨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분뇨는 연중 배출량 및 특성변화 없이 일정하다.
② 분뇨는 대량의 유기물을 함유하고 점도가 높다.
③ 분뇨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화합물은 소화 시 소화조 내의 pH 강하를 막아 준다.
④ 분뇨는 도시하수에 비해 고형물 함유도가 높다.
정답은,
① 분뇨는 연중 배출량 및 특성변화 없이 일정하다.
해설.
분뇨의 특성
• 다량의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다.
• pH는 중성~약알칼리성(8~9) 범위이다.
• 고액분리가 어려워 처리가 곤란하다.
• 계절에 따른 배출량 변화가 심하다.
38번.
폐기물을 압축시켰을 때 부피감소율이 75%이었다면, 압축비는?
① 1.5
② 2.0
③ 2.5
④ 4.0
정답은,
④ 4.0
해설.
압축비 = (압축 전 부피)/(압축 후 부피) = 100/(100−75) = 4
39번.
폐기물 재활용 고형연료(RDF)의 구비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칼로리가 높을 것
② 함수율이 높을 것
③ 재의 양이 적을 것
④ 조성이 균일할 것
정답은,
② 함수율이 높을 것
해설.
폐기물 재활용 고형연료(RDF)의 구비조건
• 함수율이 낮을 것
• 고열량일 것
• 대기오염이 적을 것
• 균일한 성분 배합률을 지닐 것
40번.
A도시지역의 쓰레기 수거량은 1,792,500t/년이다. 이 쓰레기를 1,363명이 수거한다면 수거능력 (MHT)은?
(단, 1일 작업시간은 8시간, 1년 작업일 수는 310이다)
① 1.45
② 1.77
③ 1.89
④ 1.96
정답은,
③ 1.89
해설.
수거능력 = (작업인부×작업시간)/쓰레기 수거량 = (1,368×8×310)/1,792,500 ≒ 1.89
41번.
일정기간 동안 특정 지역의 쓰레기 수거차량의 대수를 조사하여 이 값에 쓰레기의 밀도를 곱하여 중량으로 환산하여 쓰레기 발생량을 산출하는 방법은?
① 경향법
② 직접계근법
③ 물질수지법
④ 적재차량 계수분석법
정답은,
④ 적재차량 계수분석법
42번.
인구 30만명인 도시에서 1인당 쓰레기 발생량이 1.2kg/일이라고 한다.
적재용량이 15m³인 트럭으로 이 쓰레기를 매일 수거하려고 할 때, 필요한 트럭의 수는?
(단, 쓰레기 평균밀도는 550kg/m³)
① 31
② 36
③ 39
④ 44
정답은,
④ 44
해설.
운반차량 = 쓰레기 발생량/적재용량 = (300,000×1.2)/(15×550) ≒ 43.6
43번.
용존산소가 충분한 조건의 수중에서 미생물에 의한 단백질 분해 순서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NO₃⁻ → NO₂⁻ → NH₄⁺ → Amino Acid
② NH₄⁺ → NO₂⁻ → NO₃⁻ → Amino Acid
③ Amino Acid → NO₃⁻ → NO₂⁻ → NH₄⁺
④ Amino Acid → NH₄⁺ → NO₂⁻ → NO₃⁻
정답은,
④ Amino Acid → NH₄⁺ → NO₂⁻ → NO₃⁻
해설.
호기성 상태의 유기물(단백질) 분해 순서
단백질 → 아미노산(Amino Acid) → 암모늄(NH₄⁺) → 질산화 과정(NO₂⁻ → NO₃⁻)
44번.
펜톤(Fenton) 산화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황화수소 난분해성 유기물질 산화
② 오존의 난분해성 유기물질 산화
③ 과산화수소의 난분해성 유기물질 산화
④ 아질산의 난분해성 유기물질 산화
정답은,
③ 과산화수소의 난분해성 유기물질 산화
해설.
펜톤(Fenton) 산화반응은 OH 라디칼(Radical)에 의한 산화반응으로 난분해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다.
펜톤(Fenton) 시약으로 과산화수소(30~35%)와 황산철(II)을 주입하고 계속 교반하면서 산화시킨다.
45번.
혐기성 소화방법으로 쓰레기를 처분하려고 한다. 연료로 쓰일 수 있는 가스를 많이 얻으려면, 다음 중 어떤 성분이 특히 많아야 유리한가?
① 질소
② 탄소
③ 산소
④ 인
정답은,
② 탄소
해설.
연료로 쓰일 수 있는 가스성분은 메탄(CH₄)이므로 탄소성분이 많아야 유리하다.
46번.
다음 그림은 폐기물을 매립한 후 발생하는 생성가스의 농도 변화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유기물이 효소에 의해 발효되는 '혐기성 비메탄' 단계는?
① I 단계
② II단계
③ III단계
④ IV단계
정답은,
② II단계
47번.
다음 재활용시설 중 생물학적 재활용시설은?
① 고형화시설
② 고화시설
③ 버섯재배시설
④ 건조시설
정답은,
③ 버섯재배시설
해설.
고형화시설, 고화시설은 화학적 재활용시설이고, 건조시설은 기계적 재활용시설이다.
48번.
다음 중 덮개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당일복토는 매립 작업 종료 후에 매일 실시한다.
② 셀(Cell) 방식의 매립에서는 상부면의 노출기간이 7일 이상이므로 당일복토는 주로 사면부에 두께 15cm 이상으로 실시한다.
③ 당일복토재로 사질토를 사용하면 압축작업이 쉽고 통기성은 좋으나 악취 발산의 가능성이 커진다.
④ 중간복토의 두께는 15cm 이상으로 하고, 우수배제를 위해 중간복토층은 최소 0.5% 이상의 경사를 둔다.
정답은,
④ 중간복토의 두께는 15cm 이상으로 하고, 우수배제를 위해 중간복토층은 최소 0.5% 이상의 경사를 둔다.
해설.
중간복토의 두께는 30cm 이상으로 하고, 우수배제를 위해 중간복토층은 최소 2% 이상의 경사를 둔다.
49번.
매립지의 복토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화재 발생 방지
② 우수의 이동 및 침투 방지로 침출수량 최소화
③ 유해가스 이동성 향상
④ 매립지의 압축효과에 따른 부등침하의 최소화
정답은,
③ 유해가스 이동성 향상
해설.
유해가스 이동성을 억제한다.
50번.
매립지역 선정 시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매몰 후 덮을 수 있는 충분한 흙이 있어야 하며, 점토의 용이성 등 흙의 성질을 고려해야 한다.
② 용지 매수가 쉽고 경제적이어야 한다.
③ 입지 선정 후에 야기될 주민들의 반응도 고려한다.
④ 지하수 침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낮은 지역으로 선정한다.
정답은,
④ 지하수 침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낮은 지역으로 선정한다.
해설.
매립지는 지하수 침투를 받지 않는 높은 지역이 좋다.
51번.
다음은 폐기물 매립처분시설 중 어떤 시설에 해당하는가?
① 차수시설
② 덮개시설
③ 저류 구조물
④ 우수 집배수시설
정답은,
② 덮개시설
52번.
소형 차량으로 수거한 쓰레기를 대형 차량으로 옮겨 운반하기 위해 마련하는 적환장의 위치로 적합하지 않은 곳은?
① 주요 간선도로에 인접한 곳
② 수송 측면에서 가장 경제적인 곳
③ 공중위생 및 환경 피해가 최소인 곳
④ 가능한 한 수거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곳
정답은,
④ 가능한 한 수거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곳
해설.
가능한 한 수거지역에서 가까운 곳으로 정한다.
53번.
폐기물의 파쇄 작업 시 발생하는 문제점과 거리가 먼 것은?
① 먼지 발생
② 폐수 발생
③ 폭발 발생
④ 소음 · 진동 발생
정답은,
② 폐수 발생
해설.
폐수는 폐기물 매립 시 발생한다.
54번.
압축비 1.67로 쓰레기를 압축하였다면 압축 전과 압축 후의 체적감소율은 몇 %인가?
(단, 압축비는 Vi/Vf이다)
① 30%
② 40%
③ 50%
④ 60%
정답은,
② 40%
해설.
체적 감소율 = (1 - 1/압축비) × 100 = (1 - 1/1.67) × 100 ≒ 40%
55번.
다음은 파쇄기의 특성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들어갈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전단파쇄기
② 압축파쇄기
③ 충격파쇄기
④ 컨베이어파쇄기
정답은,
② 압축파쇄기
56번.
음의 회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회절하는 정도는 파장에 반비례한다.
② 슬릿의 폭이 좁을수록 회절하는 정도가 크다.
③ 장애물 뒤쪽으로 음이 전파되는 현상이다.
④ 장애물이 작을수록 회절이 잘된다.
정답은,
① 회절하는 정도는 파장에 반비례한다.
해설.
회절현상은 파장에 비례한다.
57번.
통상적으로 소각로의 설계기준이 되는 진발열량을 의미하는 것은?
① 고위발열량
② 저위발열량
③ 고위발열량과 저위발열량의 기하평균
④ 고위발열량과 저위발열량의 산술평균
정답은,
② 저위발열량
해설.
고위발열량을 총발열량이라 하고, 저위발열량을 진발열량이라 한다.
저위발열량은 수분의 영향을 배제한 것으로 소각로 설계의 기준이 된다.
58번.
소음의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노인성 난청은 고주파음(6,000Hz)에서부터 난청이 시작된다.
② 영구적 청력손실은 4,000Hz 정도에서부터 난청이 시작된다.
③ 가축의 산란율, 부화율, 우유량 등의 저하를 유발시킨다.
④ 신체적으로 혈당도, 혈중 백혈구 수, 혈중 아드레 날린 등을 저하시킨다.
정답은,
④ 신체적으로 혈당도, 혈중 백혈구 수, 혈중 아드레 날린 등을 저하시킨다.
해설.
신체적으로 혈당도, 혈중 백혈구 수, 혈중 아드레 날린 등을 증가시킨다.
59번.
혐기성 소화방법으로 쓰레기를 처분하려고 한다. 연료로 쓰일 수 있는 가스를 많이 얻으려면, 다음 중 어떤 성분이 특히 많아야 유리한가?
① 질소
② 탄소
③ 산소
④ 인
정답은,
② 탄소
해설.
연료로 쓰일 수 있는 가스성분은 메탄(CH₄)이므로 탄소 성분이 많아야 유리하다.
60번.
방음대책을 음원대책과 전파경로대책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전파경로대책에 해당하는 것은?
① 강제력 저감
② 방사율 저감
③ 파동의 차단
④ 지향성 변환
정답은,
④ 지향성 변환
해설.
방음대책
• 음원대책 : 발생원의 저소음화, 발생원인 제거, 차음, 방진, 제진
• 전파경로대책 : 거리감쇠, 차폐효과, 방음벽 설치(흡음), 지향성 변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