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기능사

환경기능사 1회

by 스터디윤쌤 2024. 9. 14.
반응형

1번.
로스앤젤레스(Los Angeles)형 스모그 발생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방사성 역전형태

② 23~32℃의 고온

③ 광화학적 반응

④ 석유계 연료

정답은,
① 방사성 역전형태

해설.
로스앤젤레스형 스모그는 침강성 역전형태(하강형)이고, 런던형 스모그는 방사성 역전형태(복사형)이다.





2번.
다음에서 설명하는 대기오염물질은?


① VOC

② O₃

③ CO₂

④ CFC

정답은,
② O₃

해설.
대기오염 경보의 대상 오염물질은 환경정책기본법 제12조에 따라 환경기준이 설정된 오염물질 중 오존을 말한다.





3번.
대기오염 공정시험 기준상 굴뚝 배출가스 중 질소산화물의 연속자동 측정방법이 아닌 것은?

① 용액전도율법

② 적외선흡수법

③ 자외선흡수법

④ 화학발광법

정답은,
① 용액전도율법

해설.
설치방식에 따라 시료채취형과 굴뚝부착형으로 구분하며, 측정원리에 따라 화학발광법, 적외선흡수법, 자외선흡수법 및 정전위전해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4번.
Cr₂O₇²⁻(중크롬산) 이온에서 크롬(Cr)의 산화수는?

① -5

② -6

③ +5

④ +6

정답은,
④ +6

해설.
산소는 화합물에서 -2의 산화수를 가지고, Cr₂O₇²⁻(중크롬산) 이온 전체의 전하는 -2이다.
Cr₂O₇²⁻ 이온은 Cr 원자가 2개, 산소 원자가 7개이므로, 
(Cr의 산화수 × 2) + (-2 × 7) = -2
계산하면,
Cr의 산화수 = +6





5번.
유해가스 처리기술 중 헨리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가스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흡수

② 흡착

③ 연소

④ 집진

정답은,
① 흡수

해설.
헨리의 법칙은 일정한 온도에서 기체의 용해도가 기체의 부분압에 비례한다는 법칙으로, 압력이 높아질수록 기체는 액체에 더 잘 녹아든다.
흡수는 이러한 헨리의 법칙을 이용하여 기체 상태의 오염물질을 액체에 용해시켜 제거하는 방법으로, 오염된 기체를 흡수액(물, 용액 등)과 접촉시키면 오염물질이 액체에 녹아들면서 기체에서 분리된다.





6번.
흡수공정으로 유해가스를 처리할 때, 흡수액이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용해도가 커야 한다.

② 점성이 작아야 한다.

③ 휘발성이 커야 한다.

④ 용매의 화학적 성질과 비슷해야 한다.

정답은,
③ 휘발성이 커야 한다.

해설.
휘발성이 작아야 한다.





7번.
유해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설치한 가로 30cm, 세로 50cm인 직사각형 송풍관의 상당직경(De)은?

① 37.5cm

② 38.5cm

③ 39.5cm

④ 40.0cm

정답은,
① 37.5cm

해설.
상당직경 = (2×가로길이×세로길이)/(가로길이+세로길이) = (2×30×50)/(30+50) = 37.5cm






8번.
유해가스를 흡수액에 흡수시켜 제거하려고 한다. 흡수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기체-액체의 접촉시간 및 접촉면적

② 흡수액에 대한 유해가스의 용해도

③ 유해가스의 분압

④ 동반가스(Carrier Gas)의 활성도

정답은,
④ 동반가스(Carrier Gas)의 활성도

해설.
흡수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기체와 액체의 접촉시간과 접촉면적
• 흡수액의 농도와 반응 속도
• 물에 대한 기체의 용해도





9번.
여과집진장치의 탈진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진동형

② 세정형

③ 역기류형

④ Pulse Jet형

정답은,
② 세정형

해설.
여과집진장치의 탈진방법

진동방식, 역기류방식, 충격기류(Pulse Jet)방식 등





10번.
중력 집진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침강실 입구폭이 클수록 유속이 느려지며 미세한 입자가 포집된다.

② 취급 입경은 0.1~10µm 이며, 유지비용은 비싼 편이다.

③ 운전 시 압력손실은 5~15mmH₂O(밀리미터 수주)로 낮다.

④ 침강실의 높이가 낮고, 수평 길이가 길수록 집진율이 높아진다.

정답은,
② 취급 입경은 0.1~10µm 이며, 유지비용은 비싼 편이다.

해설.
취급 입경은 50µm 이상이며, 유지비용은 적게 든다.





11번.
백필터(Bag Filter)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폭발성 및 점착성 먼지 제거가 곤란하다. 

② 수분에 대한 적응성이 낮으며, 유지비용이 많이 든다.

③ 여과속도가 클수록 집진효율이 커진다. 

④ 가스 온도에 따른 여재의 사용이 제한된다.

정답은,
③ 여과속도가 클수록 집진효율이 커진다. 

해설.
여과속도가 클수록 집진효율이 낮아진다.





12번.
2대의 집진장치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1차 집진장치의 집진율은 80%이고, 2차 집진장치의 집진율은 90%일 때 총집진효율은?

① 85%

② 90%

③ 95%

④ 98%

정답은,
④ 98%

해설.
총집진효율 = [1-(1-1차집진율)×(1-2차집진율)]×100 = [1-(1-0.8)×(1-0.9)]×100 = 0.98×100 = 98%





13번.
에탄 가스 1Sm³(세제곱미터)의 완전연소에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① 8.67Sm³

② 10.67Sm³

③ 12.67Sm³

④ 16.67Sm³

정답은,
④ 16.67Sm³

해설.
에탄(C₂H₆)의 완전 연소반응식
2C₂H₆ + 7O₂ → 4CO₂ + 6H₂O

에탄 가스 1Sm³를 완전연소하려면 산소(O₂)는 3.5Sm³가 필요하므로,
완전연소를 위한 이론공기량 = 이론산소량 ÷ 0.21 = 3.5 ÷ 0.21 ≒ 16.7m³





14번.
완전연소를 위한 이론공기량을 산출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부피 기준)

① 이론공기량 = 이론산소량 × 0.21

② 이론공기량 = 이론산소량 ÷ 0.21

③ 이론공기량 = 이론산소량 × 0.79

④ 이론공기량 = 이론산소량 ÷ 0.79

정답은,
② 이론공기량 = 이론산소량 ÷ 0.21





15번.
황화수소 1Sm³의 이론연소 공기량(Sm³)은?
(단, 표준상태 기준, 황화수소는 완전연소되어 물과 아황산가스로 변화)

① 5.6

② 7.1

③ 8.7

④ 9.3

정답은,
② 7.1

해설.
황화수소(H₂S)가 완전 연소하면 물(H₂O)과 아황산가스(SO₂)가 생성된다.
2H₂S + 3O₂ → 2H₂O + 2SO₂

따라서, 황화수소(H₂S) 1Sm³을 완전연소하려면 이론 산소량은 1.5Sm³가 필요하므로,
이론연소 공기량 = 1.5 ÷ 0.21 = 7.1Sm³ 가 된다.





16번.
추운 겨울에 호수가 표면부터 어는 현상 및 호수의 전도 현상과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물의 특성은?

① 증산

② 밀도

③ 증발열

④ 용해도

정답은,
② 밀도

해설.
호수의 물은 수온에 따른 밀도차에 의해 수심별로 여러 개의 층으로 나뉘는 성층 현상이 일어난다.
물의 밀도는 4℃에서 가장 높은데, 봄과 가을에는 물의 특성상 수표면의 수온이 4℃가 되어 물의 밀도가 최대로 됨으로 하부로 내려가게 되고, 하부의 물은 상부로 이동하여 전도 현상이 발생한다.





17번.
유기물 과다 유입에 따른 수질오염 현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DO 농도의 감소

② 혐기 상태로 변화

③ 어패류의 폐사 현상

④ BOD 농도의 감소

정답은,
④ BOD 농도의 감소

해설.
유기물이 과다 유입되면 부영양화에 따라 BOD가 상승한다.





18번.
수질오염 공정시험 기준상 산성 100℃ 과망간산칼륨에 의한 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 시 적정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25~30℃

② 60~80℃

③ 110~120°C

④ 185~200°C

정답은,
② 60~80℃

해설.
60~80℃는 과망간산칼륨과 유기물 사이의 산화반응이 적절하게 일어나기 위한 최적 온도이다.





19번.
비점오염원에 해당하는 것은?

① 농경지 배수

② 폐수처리장 방류수

③ 축산폐수

④ 공장의 산업폐수

정답은,
① 농경지 배수

해설.
비점오염원이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의 불특정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말한다. 
폐수처리장 방류수, 축산폐수, 산업폐수 등은 특정장소에서 배출하는 점오염원에 해당한다.





20번.
시판되는 황산의 농도가 96%(W/W), 비중 1.84일 때, 노르말농도(N)는?

① 18

② 24

③ 36

④ 48

정답은,
③ 36

해설.
노르말 농도(N)란 용액 1L 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g당량수를 나타내는 농도 단위를 말한다.
비중은 용액 1mL의 질량을 의미하므로, 황산 1L의 질량은 1.84 × 1000 = 1840g이다.
96% 황산이므로, 순수 황산은 1840 × 0.96 = 1766.4g이 된다.
황산의 몰수 = 순수 황산의 질량/황산의 분자량 = 1766.4/98 ≒ 18mol이 된다.
황산은 2가 산이므로, 1몰의 황산은 2당량이 되며, 
따라서, 18mol 황산의 노르말농도는 18mol × 2 = 36N(노르말)이 된다.





21번.
유입하수량이 2,000m³/일이고, 침전지의 용적이 250m³일 때 체류 시간은?

① 3시간

② 4시간

③ 6시간

④ 8시간

정답은,
① 3시간

해설.
체류시간 = 침전지 용적(m³)/유입하수량(m³/일) × 24시간 = 250/2,000 × 24시간 = 3시간






22번.
물리적 예비처리공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스크린

② 침사지

③ 유량조정조

④ 소화조

정답은,
④ 소화조

해설.
소화조는 혐기적 생물학적 처리공정에 해당한다.





23번.
침전지 유입부에 설치하는 정류판(Baffle)의 기능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침전지 유입수의 균일한 분배와 분포

② 침전지 내의 침사물 수집

③ 바람을 막아 표면 난류 방지

④ 침전 슬러지의 재부상 방지

정답은,
① 침전지 유입수의 균일한 분배와 분포

해설.
정류판은 침전지 유입구에 설치하여 유속의 감소와 유량의 분산을 유도하고 흐름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시설이다.





24번.
다음 중 물리적 흡착의 특징을 모두 고른 것은?


① ㄱ, ㄴ

② ㄴ ㄹ

③ ㄱ, ㄴ, ㄷ

④ ㄴ, ㄷ, ㄹ

정답은,
④ ㄴ, ㄷ, ㄹ

해설.
흡착과 탈착이 비가역적인 것은 화학적 흡착의 특징이다.





25번.
침전지 또는 농축조에 설치된 스크레이퍼의 사용 목적으로 옳은 것은?

① 침전물을 부상시키기 위해

② 스컴(Scum)을 방지하기 위해

③ 슬러지(Sludge)를 혼합하기 위해

④ 슬러지(Sludge)를 끌어모으기 위해

정답은,
④ 슬러지(Sludge)를 끌어모으기 위해

해설.
스크레이퍼는 비중이 큰 고형물들이 슬러지 부상 동안에 바닥으로 가라앉으므로 이를 긁어 주기 위하여 사용한다.





26번.
1N(노르말) H₂SO₄ 용액으로 옳은 것은?

① 용액 1mL 중 H₂SO₄ 98g 함유

② 용액 1,000mL 중 H₂SO₄ 98g 함유

③ 용액 1,000mL 중 H₂SO₄ 49g 함유

④ 용액 1mL 중 H₂SO₄ 49g 함유

정답은,
③ 용액 1,000mL 중 H₂SO₄ 49g 함유

해설.
1N(노르말)은 용액 1L(1,000mL)당 용질을 1당량(49g) 함유한다는 뜻이다.





27번.
0.01M(몰) 염산(HCI) 용액의 pH는 얼마인가? (단, 이 농도에서 염산은 100% 해리한다)

① 1

② 2

③ 3

④ 4

정답은,
② 2

해설.
pH는 수소 이온 농도의 음의 로그값으로 정의되므로,
pH = -log[H⁺] = -log[0.01] = -log[10⁻²] = 2





28번.
불소 제거를 위하여 가장 많이 이용되는 폐수처리 방법은?

① 화학침전

② 물리침전

③ 생물침전

④ 자연침전

정답은,
① 화학침전

해설.
화학침전(불소처리 방법)
불소함유 폐수에 과량의 소석회를 투입하여 pH를 10 이상으로 올린 다음 인산을 첨가하여 불소 제거효율을 높인다. 
충분히 교반시켜 반응을 완료시킨 후 황산이나 염산으로 중화해 응집 · 침전시킨다.





29번.
6가 크롬(Cr⁺⁶) 함유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방법은?

① 아말감법

② 환원침전법

③ 오존산화법

④ 충격법

정답은,
② 환원침전법

해설.
환원침전법
pH 3.0 이하의 낮은 pH에서 황산제1철이나 아황산가스 등의 환원제를 사용하여 6가 상태의 크롬을 3가로 환원시킨 다음 석회 등의 알칼리성 물질을 넣어 중화시킨 후 3가 상태의 크롬으로 침전시키는 방법이다.





30번.
수질오염 공정시험 기준에 의거 부유물질(SS)을  측정하고자 할 때 반드시 필요한 것은?

① 배지

② Gas Chromatography

③ 배양기

④ GF/C 여지

정답은,
④ GF/C 여지

해설.
GF/C 여지는 유리섬유 여과지의 일종으로, 부유물질 측정에 주로 사용되며, 미세한 구멍을 가지고 있어 부유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31번.
우리나라 수거분뇨의 pH는 대략 어느 범위에 속하는가?

① 1.0~2.5

② 4.0~5.5

③ 7.0~8.5

④ 10~12

정답은,
③ 7.0~8.5

해설.
우리나라 수거분뇨의 pH는 약알칼리성(7.0~8.5)을 띤다.





32번.
용존산소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용존산소량은 감소한다. 

② 불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용존산소량은 감소한다.

③ 물의 흐름이 난류일 때 산소의 용해도가 낮다. 

④ 현재 물속에 녹아 있는 용존산소량이 적을수록 용해속도가 증가한다.

정답은,
③ 물의 흐름이 난류일 때 산소의 용해도가 낮다. 

해설.
물의 흐름이 난류일 때 산소의 용해 속도가 높다.





33번.
탱크에 쇄석 등의 여재를 채우고 위에서 폐수를 뿌려 쇄석 표면에 번식하는 미생물이 폐수와 접촉해 유기물을 섭취ㆍ분해하여 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은?

① 활성슬러지법

② 호기성 산화지법

③ 회전원판법

④ 살수여상법

정답은,
④ 살수여상법

해설.
회전원판법은 살수여상법과 같이 부착성 미생물에 의한 생물막 처리방법이며, 쇄석을 사용하는 것은 살수여상법이다.





34번.
BOD, SS의 제거율이 비교적 높고 악취나 파리의 발생이 거의 없으며 설치면적은 적게 드나, 슬러지 팽화의 문제점이 있고 슬러지 생성량이 비교적 많은 생물학적 처리방법은?

① 활성슬러지법

② 회전원판법

③ 산화지법

④ 살수여상법

정답은,
① 활성슬러지법

해설.
활성슬러지법은 미생물이 포함된 슬러지를 폭기조에서 배양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는 방법이다.

• 장점 : 설치면적이 작음, 악취 발생이 적고 2차 공해 우려가 없음, BOD, SS의 제거율이 높음
• 단점 : 높은 운전비용, 슬러지 팽화 발생, 슬러지 생성량이 많음





35번.
생물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폐수 중의 인과 질소를 동시에 제거하는 공정 중 혐기조의 역할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유기물 흡수, 인의 과잉 흡수

② 유기물 흡수, 인 방출

③ 유기물 흡수, 탈질소

④ 유기물 흡수, 질산화

정답은,
② 유기물 흡수, 인 방출

해설.
혐기조에서는 유기물 흡수와 인의 방출이 일어나고 폭기조에서는 인의 과잉 섭취가 일어난다.





36번.
폐기물의 3성분이라 볼 수 없는 것은?

① 수분

② 무연분

③ 회분

④ 가연분

정답은,
② 무연분

해설.
폐기물의 3성분

수분, 회분, 휘발성 고연분(가연분)





37번.
폐기물 분석시료를 얻기 위한 시료의 분할채취방법 중 다음에 해당하는 것은?


① 균일법

② 구획법

③ 교호삼법

④ 원추4분법

정답은,
② 구획법





38번.
폐기물의 퇴비화 공정에서 발생된 생성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NO₃⁻

② CO₂

③ O₃

④ H₂O

정답은,
③ O₃

해설.
폐기물 퇴비화 공정은 유기물을 미생물의 작용을 통해 분해하여 퇴비를 만드는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주로 발생하는 물질은 이산화탄소(CO₂), 물(H₂O), 그리고 미량의 질소 화합물 등이다.





39번.
폐기물 시료 100kg을 달아 건조한 후의 시료 중량을 측정하였더니 40kg이었다. 이 폐기물의 수분함량%(W/W)는?

① 40%

② 50%

③ 60%

④ 80%

정답은,
③ 60%

해설.
수분함량(%) 
= (건조 전 시료의 무게 − 건조 후 시료의 무게)/(건조 전 시료의 무게) × 100 
= (100−40)/100 × 100 = 60% 






40번.
관거(Pipeline) 수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자동화, 무공해화가 가능하다.

② 가설 후에 경로 변경이 곤란하고 설치비가 높다.

③ 잘못 투입된 물건의 회수가 용이하다.

④ 큰 쓰레기는 파쇄, 압축 등의 전처리를 해야 한다.

정답은,
③ 잘못 투입된 물건의 회수가 용이하다.

해설.
관거(Pipeline)에 의한 방법은 관거에 스크류 컨베이어를 설치하여 수송 · 운반하는 방법으로 잘못 투입된 물건의 회수가 어렵다.





41번.
1,792,500ton/년의 쓰레기를 2,725명의 인부가 수거하고 있다면 수거인부의 수거능력(MHT)은? 
(단, 수거인부의 1일 작업시간은 8시간, 1년 작업일수는 310일이다)

① 2.16

② 2.95

③ 3.24

④ 3.77

정답은,
④ 3.77

해설.
수거능력 = (작업인부×작업시간)/연간 쓰레기량(𝑡𝑜𝑛) = (2,725×8×310)/1,792,500(𝑡𝑜𝑛) = 3.77






42번.
어느 도시에 인구 100,000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1인당 쓰레기 발생량이 평균 0.9kg/인·일이다.
이 쓰레기를 적재용량이 5ton인 트럭을 이용하여 한 번에 수거를 마치려면 트럭이 몇 대 필요한가?

① 10대

② 12대

③ 15대

④ 18대

정답은,
④ 18대

해설.
운반차량 = 쓰레기 발생량(𝑘𝑔)/적재용량(𝑘𝑔) = (100,000×0.9)/5,000 = 18대






43번.
쓰레기 발생량 산정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적재차량 계수분석법

② 직접계근법

③ 물질수지법

④ 직접경향분석법

정답은,
④ 직접경향분석법

해설.
쓰레기 발생량 산정방법
• 적재차량 계수분석법 : 일정 기간 동안 특정지역의 수거 · 운반 차량의 대수를 조사하고 밀도를 이용하여 무게로 환산하는 방법
• 직접계근법 : 일정 기간 동안 특정지역의 쓰레기 수거 · 운반 차량을 직접 계근하는 방법
• 물질수지법 : 조사하고자 하는 계의 경계를 설정 후, 계 내로 유입되는 모든 물질과 유출되는 모든 물질간에 물질수지를 세움으로써 폐기물 발생량을 추정하는 방법





44번.
로타리킬른 방식의 장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열효율이 높고, 적은 공기비로도 완전연소가 가능하다.

② 예열이나 혼합 등 전처리가 거의 필요 없다.

③ 드럼이나 대형용기를 파쇄하지 않고 그대로 투입할 수 있다.

④ 습식가스 세정시스템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정답은,
① 열효율이 높고, 적은 공기비로도 완전연소가 가능하다.

해설.
로타리킬른 방식은 설치비가 비싸고 열효율이 낮으며, 2차 연소실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45번.
기체연료를 버너노즐로 분출시켜 외부공기와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방법은?

① 확산 연소법

② 사전혼합 연소법

③ 화격자 연소법

④ 미분탄 연소법

정답은,
① 확산 연소법

해설.
확산 연소법은 기체연료(프로판 가스, LPG 등)를 공기의 확산에 의하여 반응하는 연소형태를 취한다.





46번.
어느 슬러지 건조상의 길이가 40m이고, 폭은 25m 이다. 
여기에 30cm 깊이로 슬러지를 주입할 때 전체 건조기간 중 슬러지의 부피가 70% 감소하였다면 건조된 슬러지의 부피는 몇 m³가 되겠는가?

① 50m³

② 70m³

③ 90m³

④ 110m³

정답은,
③ 90m³

해설.
건조된 슬러지의 부피 = 40m × 25m × 0.3m × (1-0.7) = 90m³





47번.
폐기물을 안정화 및 고형화할 때 폐기물의 전환 특성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오염물질의 독성 증가

② 폐기물 취급 및 물리적 특성 향상

③ 오염물질이 이동되는 표면적 감소

④ 폐기물 내에 있는 오염물질의 용해성 제한

정답은,
① 오염물질의 독성 증가

해설.
오염물질의 독성이 감소한다.





48번.
슬러지의 안정화 방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혐기성 소화

② 살수여상법

③ 호기성 소화

④ 퇴비화

정답은,
② 살수여상법

해설.
슬러지 안정화란 슬러지의 수분 함량을 줄이고, 병원균을 사멸시키며, 탈수성을 향상시켜 최종 처분에 적합하도록 만드는 과정으로, 혐기성 소화, 호기성 소화, 퇴비화 등이 있다.
살수여상법은 하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중 하나로 슬러지 자체를 안정화시키는 목적보다는 하수를 정화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49번.
무기응집제인 알루미늄염의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적정 pH 폭이 2~12 정도로 매우 넓은 편이다.

② 독성이 거의 없어 대량으로 주입할 수 있다.

③ 시설을 더럽히지 않는 편이다.

④ 가격이 저렴한 편이다.

정답은,
① 적정 pH 폭이 2~12 정도로 매우 넓은 편이다.

해설.
알루미늄염은 독성이 없고 경제적이나 pH 폭이 좁은 단점이 있다.





50번.
혐기성 소화 탱크에서 유기물 75%, 무기물 25%인 슬러지를 소화 처리하여, 소화 슬러지의 유기물이 58%, 무기물이 42%가 되었을 때의 소화율은?

① 35%

② 42%

③ 49%

④ 54%

정답은,
④ 54%

해설.
• 소화 전 비율 = 소화 전 유기물 비율/소화 전 무기물 비율 = 75/25 = 3

• 소화 후 비율 = 소화 슬러지 유기물 비율/소화 슬러지 무기물 비율 = 58/42 = 1.38

• 소화율 = (소화 전 비율 - 소화 후 비율)/소화 전 비율 × 100 = (3-1.38)/3 × 100 = 54%





51번.
폐기물의 재활용과 감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실시할 수 있는 제도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예치금 제도

② 환경영향평가

③ 부담금 제도

④ 쓰레기 종량제

정답은,
② 환경영향평가

해설.
환경영향평가는 개발 사업의 환경적 영향을 평가하는 제도로, 폐기물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반면, 예치금 제도, 부담금 제도, 쓰레기 종량제는 이미 발생한 폐기물의 재활용과 감량화를 직접적으로 유도하는 제도이다.




52번.
매립지 차수시설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차수시설은 매립이 시작되면 복구가 불가능하므로 차수막의 특성에 따라 완벽하게 설계 및 시공되어야 한다.

② 차수시설은 형태에 따라 매립지의 바닥 및 경사면의 차수를 위한 표면차수공과 매립지의 하류부 또는 주변부에 연직으로 설치하는 연직차수시설로 나뉜다.

③ 점토에 벤토나이트 등을 첨가하면 차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④ 합성수지 및 고무계 차수막은 내화학성과 내구성이 높아 경사면 및 지반침하의 우려가 있는 곳에도 직접 시공할 수 있다.

정답은,
④ 합성수지 및 고무계 차수막은 내화학성과 내구성이 높아 경사면 및 지반침하의 우려가 있는 곳에도 직접 시공할 수 있다.

해설.
지반침하의 우려가 있는 곳에서는 지하수의 압력에 의하여 파괴될 수 있으므로 피한다.





53번.
폐기물의 자원화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① RDF

② Pyrolysis

③ Land Fill

④ Composting

정답은,
③ Land Fill

해설.
Land Fill은 폐기물 매립이라는 의미이며, 자원화와 관련된 것은 Land Fill Gas(매립지 가스)이다.





54번.
매립지의 복토 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화재 발생 방지

② 우수의 이동 및 침투방지로 침출수량 최소화

③ 유해가스 이동성 향상

④ 매립지의 압축 효과에 따른 부등침하의 최소화

정답은,
③ 유해가스 이동성 향상

해설.
유해가스 이동성을 억제한다.





55번.
매립 가스 중 축적되면 폭발성의 위험성이 있고 가볍기 때문에 위로 확산되며, 구조물의 설계 시에는 구조물로 스며들지 않도록 해야 하는 물질은?

① 메탄

② 산소

③ 황화수소

④ 이산화탄소

정답은,
① 메탄

해설.
메탄(CH₄)은 매립 가스 중 연료로 사용 가능하나 폭발의 위험성이 있어 조심해야 한다.





56번.
음의 회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회절하는 정도는 파장에 반비례한다.

② 슬릿의 폭이 좁을수록 회절하는 정도가 크다.

③ 장애물 뒤쪽으로 음이 전파되는 현상이다.

④ 장애물이 작을수록 회절이 잘된다.

정답은,
① 회절하는 정도는 파장에 반비례한다.

해설.
회절현상은 파장에 비례한다.





57번.
진동수가 200Hz이고, 속도가 50m/s인 파동의 파장은?

① 25cm

② 50cm

③ 75cm

④ 100cm

정답은,
① 25cm

해설.
파동의 파장 = 속도/진동수 = 50/200 = 0.25m = 25cm






58번.
소음 · 진동 환경오염 공정시험 기준상 소음의 배출 허용기준을 측정할 때, 손으로 소음계를 잡고 측정할 경우 소음계는 측정자의 몸으로부터 최소 얼마 이상 떨어져야 하는가?

① 0.1m 이상

② 0.3m 이상

③ 0.5m 이상

④ 1.5m 이상

정답은,
③ 0.5m 이상

해설.
손으로 소음계를 잡고 측정할 경우 소음계는 측정자의 몸으로부터 0.5m 이상 떨어져야 한다.





59번.
하중의 변화에도 기계의 높이 및 고유진동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부하 능력이 광범위하나 사용진폭이 적은 것이 많으므로 별도의 댐퍼가 필요한 경우가 많은 방진재는?

① 방진고무

② 탄성블럭

③ 금속스프링

④ 공기스프링

정답은,
④ 공기스프링

해설.
공기스프링의 특징
• 공기의 압축 탄성을 이용한 것
• 하중의 변화에도 기계의 높이 및 고유진동수를 일정하게 유지
• 부하 능력이 광범위하나 사용진폭이 작아 별도의 댐퍼가 필요함
• 자동제어 가능
• 구조가 복잡하고 시설비가 높음





60번.
형상의 선택이 비교적 자유롭고 압축, 전단 등의 사용방법에 따라 1개로 2축방향 및 회전방향의 스프링 정수를 광범위하게 선택할 수 있으나, 내부마찰에 의한 발열때문에 열화되는 방진재료는?

① 방진고무

② 공기스프링

③ 금속스프링

④ 직접지지판스프링

정답은,
① 방진고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