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피복아크용접기능사 기출모음

피복아크 용접기능사 4회

by 스터디윤쌤 2024. 5. 16.
반응형

01.
금속의 접합법 중 야금학적 접합법이 아닌 것은?

① 융접

② 압접

③ 납땜

④ 볼트 이음

정답
④ 볼트 이음

해설.
볼트 이음은 기계적 접합법에 속한다.





02. 
아세틸렌 과잉 불꽃이라 하며 속불꽃과 겉불꽃 사이에 백색의 제3불꽃 즉, 아세틸렌 패더가 있는 불꽃은?

① 탄화 불꽃

② 산화 불꽃

③ 아세틸렌 불꽃

④ 중성 불꽃

정답
① 탄화 불꽃

해설.
아세틸렌이 과잉 분출되었을 때 탄화 불꽃이 생성된다.





03. 
저항 용접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산화 및 변질부분이 적다.

② 용접봉, 용제 등이 불필요하다.

③ 작업속도가 빠르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④ 열손실이 많고, 용접부에 집중열을 가할 수 없다.

정답
④ 열손실이 많고, 용접부에 집중열을 가할 수 없다.

해설.
저항용접은 열손실이 적고 용접부에 집중적으로 열을 가할 수 있다.





04. 
용접결합과 원인을 각각 짝지은 것 중 틀린 것은?

① 언더컷 : 용접전류가 너무 높을 때

② 오버랩 : 용접전류가 너무 낮을 때

③ 용입불량 : 이음설계가 불량할 때

④ 기공 : 저수소계 용접봉을 사용했을 때

정답
④ 기공 : 저수소계 용접봉을 사용했을 때

해설.
• 기공의 원인 : 황이나 수소 등의 가스가 용융 금속 중에 있을 때, 건조 되지 않은 용접봉을 사용했을 경우 발생한다.
• 기공의 방지대책 : 저수소계 용접봉을 사용하거나 용접봉을 충분히 건조한 후 사용한다.





05. 
용접 홈의 형식 중 두꺼운 판의 양면 용접을 할 수 없는 경우에 가공하는 방법으로 한쪽 용접에 의해 충분한 용입을 얻으려고 할 때 사용되는 홈은?

① I형 홈

② V형 홈

③ U형 홈

④ H형 홈

정답
③ U형 홈

해설.
U형 홈은 두꺼운 판을 한쪽 방향에서 충분한 용입을 얻고자 할 때 사용한다.





06. 
다음 중 수중 절단에 가장 적합한 가스로 짝지어진 것은?

① 산소 – 수소 가스

② 산소 – 이산화탄소 가스

③ 산소 – 암모니아 가스

④ 산소 – 헬륨 가스

정답
① 산소 – 수소 가스

해설.
수소가스는 연소 시 탄소가 존재하지 않아 납의 용접이나 수중절단용 가스로 사용된다.





07. 
아세틸렌 가스는 각각 몇 ºC, 몇 kgf/cm²로 충전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가? 

① 40ºC, 160kgf/cm²

② 35ºC, 150kgf/cm²

③ 20ºC, 30kgf/cm²

④ 15ºC, 15kgf/cm²

정답
④ 15ºC, 15kgf/cm²

해설.
아세틸렌 가스는 1기압일 때 약 15ºC의 온도에서 15kgf/cm²의 압력으로 충전해야 한다.





08. 
가스 용접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아크 용접에 비해 불꽃의 온도가 높다.

② 열 집중성이 좋아 효율적인 용접이 가능하다.

③ 전원 설비가 있는 곳에서만 설치가 가능하다.

④ 가열할 때 열량 조절이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박판 용접에 적합하다.

정답
④ 가열할 때 열량 조절이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박판 용접에 적합하다.

해설.
옳은 설명

• 아크 용접에 비해 불꽃의 온도가 낮다.
• 열 집중성이 나빠서 효율적인 용접이 어렵다.
• 전원이 없는 곳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09. 
다음 중 용접 결함의 보수 용접에 관한 사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재료의 표면에 있는 얕은 결함은 덧붙임 용접으로 보수한다.

② 언더컷이나 오버랩 등은 그대로 보수 용접을 하거나 정으로 따내기 작업을 한다.

③ 결함이 제거된 모재 두께가 필요한 치수보다 얕게 되었을 때에는 덧붙임 용접으로 보수한다.

④ 덧붙임 용접으로 보수할 수 있는 한도를 초과할 때에는 결함부분을 잘라내어 맞대기 용접으로 보수한다.

정답
① 재료의 표면에 있는 얕은 결함은 덧붙임 용접으로 보수한다.

해설.
재료의 표면에 얕은 결함이 있으면 스카핑으로 불어내서 결함을 제거한 뒤 재용접을 해야 한다.





10. 
정격 2차 전류 200A, 정격 사용률 40%의 아크용접기로 150A의 용접전류 사용 시 허용사용률은 약 얼마인가?

① 51%

② 61%

③ 71%

④ 81%

정답
③ 71%

해설.
허용사용률(%) = (정격 2차 전류)²/(실제 용접 전류)² × 정격사용률(%) = (200A)²/(150A)² × 40(%) =71.1% 





11. 
교류아크 용접기와 비교했을 때 직류아크 용접기의 특징을 옳게 설명한 것은?

① 아크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② 구조가 간단하다.

③ 극성 변화가 불가능하다.

④ 전격의 위험이 많다.

정답
① 아크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해설.
직류 아크 용접기는 전류가 안정적으로 공급되므로 아크가 안정적이다.





12. 
다음 그림과 같은 용착법은?


① 대칭법

② 전진법

③ 후진법

④ 스킵법

정답
④ 스킵법

해설.
비석법으로도 불리는 스킵법은 용접부 전체의 길이를 5개 부분으로 나누어 놓고 1-4-2-5-3순으로 용접하는 방법으로 용접부에 잔류응력을 적게 해야 할 경우에 사용하는 용착법이다.





13. 
강재 표면의 홈이나 개재물, 탈탄층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될 수 있는 대로 얇게 그리고 타원형 모양으로 표면을 깎아내는 가공법은?

① 가스 가우징

② 코킹

③ 아크에어 가우징

④ 스카핑

정답
④ 스카핑

해설.
스카핑이란 강괴나 강편, 강재 표면의 홈이나 개재물, 탈탄층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불꽃 가공으로 될 수 있는 대로 얇게 그리고 타원형 모양으로 표면을 깎아내는 가공법이다.





14. 
텅스텐 전극과 모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알루미늄, 마그네슘, 구리 및 구리합금, 스테인리스강 등의 절단에 사용되는 것은?

① TIG 절단

② MIG 절단

③ 탄소 절단

④ 산소 아크 절단

정답
① TIG 절단

해설.
W전극(텅스텐 전극)을 사용하는 아크 절단법은 TIG(Tungsten Inert Gas) 절단이다.





15. 
텅스텐 전극봉 중에서 전자 방사능력이 현저하게 뛰어난 장점이 있으며 불순물이 부착되어도 전자 방사가 잘되는 전극은?

① 순텅스텐 전극

② 토륨 텅스텐 전극

③ 지르코늄 텅스텐 전극

④ 마그네슘 텅스텐 전극

정답
② 토륨 텅스텐 전극

해설.
토륨 텅스텐 봉은 순텅스텐 봉에 토륨을 1~2% 합금한 것으로, 전자 방사 능력이 뛰어나며 불순물이 부착되어도 전자 방사가 잘되는 특징을 갖는다.





16. 
알루미늄을 TIG 용접할 때 가장 적합한 전류는?

① AC

② ACHF

③ DCRP

④ DCSP

정답
② ACHF

해설.
TIG 용접으로 알루미늄 용접 시에는 고주파 교류(ACHF : Across Current High Frequency)를 사용한다.





17. 
연납용 용제로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① 인산

② 염화아연

③ 염산

④ 붕산

정답
④ 붕산

해설.
붕산은 경납용 납땜 용제로 사용된다.





18. 
가스 용접 시 사용하는 용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용제는 용접 중에 생기는 금속의 산화물을 용해한다.

② 용제는 용접 중에 생기는 비금속 개재물을 용해한다.

③ 용재의 융점은 모재의 융점보다 높은 것이 좋다.

④ 용제는 건조한 분말, 페이스트, 또는 용접부 표면을 피복한 것도 있다. 

정답
③ 용재의 융점은 모재의 융점보다 높은 것이 좋다.

해설.
가스 용접용 용제는 모재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녹는다.





19.
피복아크 용접에서 아크 안정제에 속하는 피복 배합제는?

① 산화타이타늄

② 탄산마그네슘

③ 페로망간

④ 알루미늄

정답
① 산화타이타늄

해설.
용접봉의 피복 배합제 성분들 중에서 산화타이타늄은 아크안정제로서 사용되며, 규산칼륨, 규산나트륨, 석회석을 사용하기도 한다.





20.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의 다전극 방식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① 푸시식

② 탠덤식

③ 횡병렬식

④ 횡직렬식

정답
① 푸시식

해설.
서브머지드 아크용접(SAW)의 다전극 용극 방식에는 탠덤식, 횡병렬식, 횡직렬식이 있다.





21.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용접장치로는 송급장치, 전압제어장치, 접촉팁, 이동대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② 용제의 종류에는 용융형 용제, 고온 소결형 용제, 저온 소결형 용제가 있다.

③ 시공을 할 때는 루트 간격을 0.8mm 이상으로 한다.

④ 엔드 탭의 부착은 모재와 홈의 형상이나 두께, 재질 등이 동일한 규격으로 부착하여야 한다.

정답
③ 시공을 할 때는 루트 간격을 0.8mm 이상으로 한다.

해설.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은 개선 홈의 정밀을 요하기 때문에 백킹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루트 간격을 0.8mm 이하로 반드시 유지해야 한다.





22. 
MIG용접의 용적이행 중 단락 아크용접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용적이 안정된 스프레이형태로 용접된다.

② 고주파 및 저전류 펄스를 활용한 용접이다.

③ 암계전류 이상의 용접 전류에서 많이 적용된다.

④ 저전류, 저전압에서 나타나며 박판용접에 사용된다.

정답
④ 저전류, 저전압에서 나타나며 박판용접에 사용된다.

해설.
MIG용접에서 사용하는 용적 이행방식 중에서 단락이행(단락아크용접) 방식은 저전류, 저전압에서 나타나며 박판용접에 주로 사용된다.





23. 
불활성 가스 금속 아크용접(MIG)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용가재가 고속으로 용융되어 미립자의 용적으로 분사되어 모재로 옮겨가는 이행방식은?

① 단락 이행

② 입상 이행

③ 펄스아크 이행

④ 스프레이 이행

정답
④ 스프레이 이행

해설.
스프레이 이행은 아크기류 중에서 용가재가 고속으로 용융되어 미립자의 용적으로 분사되므로 모재에 옮겨가면서 용착되는 용적이행이다. 
고전압, 고전류에서 발생되며, 용착속도가 빠르고 능률적이다.





24. 
수직판 또는 수평면 내에서 선회하는 회전 영역이 넓고 팔이 기울어져 상하로 움직일 수 있어 주로 스폿 용접과 중량물 취급 등에 많이 이용되는 로봇은?

① 다관절 로봇

② 극좌표 로봇

③ 원통 좌표 로봇

④ 직각 좌표계 로봇

정답
② 극좌표 로봇





25. 
안전 · 보건표지의 색채, 색도기준 및 용도에서 지시의 용도 색채는?

① 검은색

② 노란색

③ 빨간색

④ 파란색

정답
④ 파란색

해설.
지시나 사실의 고지는 파란색을 사용한다.





26. 
가스절단에서 드래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절단면에 일정한 간격의 곡선이 진행방향으로 나타나 있는 것을 드래그 라인이라 한다.

② 드래그 길이는 절단속도, 산소 소비량 등에 의해 변화한다.

③ 표준드래그 길이는 보통 판 두께의 50% 정도이다.

④ 하나의 드래그라인의 시작점에서 끝점까지의 수평거리를 드래그 또는 드래그 길이라 한다.

정답
③ 표준드래그 길이는 보통 판 두께의 50% 정도이다.

해설.
표준드래그 길이(mm)는 판 두께(mm)의 5분의 1, 즉 판 두께의 20%이다.





27. 
CO2 가스 아크 용접시 저전류 영역에서 가스유량은 약 몇 L/min 정도가 가장 적당한가?

① 1~5

② 6~10

③ 10~15

④ 16~20

정답
③ 10~15

해설.
CO2 용접에서 전류의 크기에 따른 가스 유량

• 250A 이하의 저전류 영역 : 가스유량 10~15(L/min)
• 250A 이상의 고전류 영역 : 가스유량 20~25(L/min)





28. 
CO2 가스 아크 용접에서 솔리드 와이어에 비교한 복합 와이어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① 양호한 용착금속을 얻을 수 있다.

② 스패터가 많다.

③ 아크가 안정된다.

④ 비드 외관이 깨끗하여 아름답다.

정답
② 스패터가 많다.

해설.
복합 와이어

• 솔리드 와이어에 비해 스패터의 발생량이 적다.
• 용착속도가 빠르고, 슬래그 제거가 쉽다.





29. 
스터드 용접의 특징 중 틀린 것은?

① 긴 용접시간으로 용접변형이 크다.

② 용접 후의 냉각속도가 비교적 빠르다.

③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용접이 가능하다.

④ 탄소 0.2%, 망간 0.7% 이하 시 균열 발생이 없다.

정답
① 긴 용접시간으로 용접변형이 크다.

해설.
스터드 용접은 용접시간이 짧고 국부적으로 가열하기 때문에 용접변형이 작다.





30. 
가스 용접 시 팁 끝이 순간적으로 막혀 가스분출이 나빠지고 혼합실까지 불꽃이 들어가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인화

② 역류

③ 점화

④ 역화

정답
① 인화

해설.
인화는 팁 끝이 순간적으로 막히면 가스의 분출이 나빠지고 가스 혼합실까지 불꽃이 도달하여 토치를 빨갛게 달구는 현상이다. 





31. 
다음 중 전자 빔 용접의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

① 두꺼운 판의 용접이 불가능하다.

② 용접을 정밀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③ 에너지 집중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속으로 용접이 된다.

④ 고진공 속에서 용접을 하므로 대기와 반응되기 쉬운 활성 재료도 용이하게 용접된다.

정답
① 두꺼운 판의 용접이 불가능하다.

해설.
전자 빔 용접은 얇은 판에서 두꺼운 판까지 용접이 가능하다.





32. 
TIG 용접 및 MIG 용접에 사용되는 불활성 가스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수소 가스

② 아르곤 가스

③ 산소 가스

④ 질소 가스

정답
② 아르곤 가스

해설.
TIG 및 MIG 용접 시에는 아르곤(Ar) 가스를 보호가스로 사용한다. 





33. 
다음 중 정지구멍(Stop Hole)을 뚫어 결함부분을 깎아내고 재용접해야 하는 결함은?

① 균열

② 언더컷

③ 오버랩

④ 용입부족

정답
① 균열

해설.
균열 불량의 경우 다른 부분까지 전이될 우려가 있으므로 주변 부위까지 깎아내고 재용접을 해야 한다.





34. 
CO2 가스 아크 용접 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3~4% 일 때 인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두통, 뇌빈혈을 일으킨다.

② 위험상태가 된다.

③ 치사량이 된다.

④ 아무렇지도 않다.

정답
① 두통, 뇌빈혈을 일으킨다.

해설.
CO2의 농도가 3~4%일 경우 호흡속도 상승, 두통, 뇌빈혈, 혈압상승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35. 
교류 아크 용접기는 무부하 전압이 높아 전격의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을 위하여 전격 방지기를 설치한다. 
이때 전격 방지기의 2차 무부하 전압은 몇 V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적당한가?

① 80~90V 이하

② 60~70V 이하

③ 40~50V 이하

④ 20~30V 이하

정답
④ 20~30V 이하

해설.
전격이란 강한 전류를 갑자기 몸에 느꼈을 때의 충격을 말하며, 용접기에는 작업자의 전격을 방지하기 위해 전격방지기를 용접기에 부착한다. 
전격방지기는 작업을 쉬는 동안에 2차 무부하 전압이 항상 25V 정도로 유지되도록 하여 전격을 방지할 수 있다.





36. 
아세틸렌가스와 프로판가스를 이용한 절단 시의 비교 내용으로 틀린 것은?

① 프로판은 슬래그의 제거가 쉽다.

② 아세틸렌은 절단 개시까지의 시간이 빠르다.

③ 프로판이 점화하기 쉽고, 중성불꽃을 만들기도 쉽다.

④ 프로판의 포갬절단 속도는 아세틸렌보다 빠르다.

정답
③ 프로판이 점화하기 쉽고, 중성불꽃을 만들기도 쉽다.

해설.
프로판 가스보다 아세틸렌 가스가 점화하기 더 용이하고 중성 불꽃도 만들기 쉽다.





37. 
다음 중 융접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마찰 용접

② 스터드 용접

③ 피복 아크 용접

④ 탄산가스 아크 용접

정답
① 마찰 용접

해설.
마찰용접은 압접에 속한다.





38. 
금속의 결정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결정입자의 경계를 결정입계라 한다.

② 결정체를 이루고 있는 각 결정을 결정입자라 한다.

③ 체심입방격자는 단위격자 속에 있는 원자수가 3개이다.

④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원자가 입체적으로 규칙적인 배열을 이루고 있는 것을 결정이라 한다.

정답
③ 체심입방격자는 단위격자 속에 있는 원자수가 3개이다.

해설.
체심입방격자의 단위격자 속의 원자수는 2개이다.





39. 
아연을 약 40% 첨가한 황동으로 고온가공하여 상온에서 완성하며, 열교환기, 열간 단조품, 탄피 등에 사용되고 탈아연 부식을 일으키기 쉬운 것은?

① 알브락

② 니켈황동

③ 문쯔메탈

④ 애드미럴티황동

정답
③ 문쯔메탈

해설.
문쯔메탈은 황동으로써 60%의 구리와 40%의 아연이 합금된 것으로, 이 비율에서 인장강도가 최대이며, 강도가 필요한 곳에 사용한다.





40. 
강에 인(P)이 많이 함유되면 나타나는 결함은?

① 적열메짐

② 연화메짐

③ 저온메짐

④ 고온메짐

정답
③ 저온메짐

해설.
인(P)이 많은 합금 탄소강은 -20~-30ºC에서 급격히 취성을 갖게 되는데, 이때 충격을 받게 되면 쉽게 부서져서 저온메짐(저온취성)이라고 한다. 
이를 방지하려면 뜨임(Tempering)처리하여 솔바이트 조직으로 만들어 사용하여야 한다. 





41. 
잔류응력 제거법 중 잔류응력이 있는 제품에 하중을 주어 용접부위에 약간의 소성변형을 일으킨 다음 하중을 제거하는 방법은?

① 피닝법

② 노내 풀림법

③ 국부 풀림법

④ 기계적 응력 완화법

정답
④ 기계적 응력 완화법

해설.
기계적 응력 완화법은 용접 후 잔류응력이 있는 제품에 하중을 주어 용접부에 약간의 소성 변형을 일으킨 후 하중을 제거하면서 잔류응력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42. 
탄소강의 표준 조직이 아닌 것은?

① 페라이트

② 펄라이트

③ 시멘타이트

④ 마텐자이트

정답
④ 마텐자이트

해설.
탄소강의 표준조직에는 페라이트, 펄라이트, 시멘타이트, 오스테나이트가 있다.





43. 
7 : 3 황동에 1% 내외의 Sn을 첨가하여 열교환기, 증발기 등에 사용되는 합금은?

① 코슨 황동

② 네이벌 황동

③ 애드미럴티 황동

④ 에버듀어 메탈

정답
③ 애드미럴티 황동

해설.
애드미럴티 황동은 Cu와 Zn의 비율이 7 : 3인 황동에 Sn 1%를 합금한 것으로 콘덴서 튜브나 열교환기, 증발기용 재료로 사용된다.





44. 
암모니아(NH3) 가스 중에서 500ºC 정도로 장시간 가열하여 강제품의 표면을 경화시키는 열처리는?

① 침탄 처리

② 질화 처리

③ 화염 경화처리

④ 고주파 경화처리

정답
② 질화 처리

해설.
열처리의 일종인 질화법은 재료의 표면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암모니아(NH3) 가스의 영역 안에 재료를 놓고 약 500ºC에서 50~100시간을 가열하면 재료 표면의 Al, Cr, Mo이 질화되면서 표면이 단단해지는 표면경화법이다.





45. 
용접구조물의 제작도면에 사용하는 보조기능 중 RT는 비파괴시험 중 무엇을 뜻하는가?

① 초음파 탐상시험

② 자기분말 탐상시험

③ 침투 탐상시험

④ 방사선 투과시험

정답
④ 방사선 투과시험

해설.
방사선 투과시험의 기호는 RT로 Radiography Test의 약자이다.





46. 
알루미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비중이 2.7로 낮다.

② 용융점은 1,067ºC이다.

③ 전기 및 열전도율이 우수하다.

④ 고강도 합금으로 두랄루민이 있다.

정답
② 용융점은 1,067ºC이다.

해설.
알루미늄의 용융점은 660ºC이다.





47. 
주철은 600ºC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했다가 냉각하는 과정의 반복에 의하여 팽창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주철의 성장이라고 한다. 
다음 중 주철의 성장 원인이 아닌 것은?

① Fe3C 중의 흑연화에 의한 팽창

② 오스테나이트 조직 중의 Si의 산화에 의한 팽창

③ 흡수된 가스의 팽창에 따른 부피증가 등으로 인한 주철의 성장

④ A1 변태의 반복과정에서 오는 체적변화에 기인되는 미세한 균열이 형성되어 생기는 팽창

정답
② 오스테나이트 조직 중의 Si의 산화에 의한 팽창

해설.
주철은 불균일한 가열로 균열이 생기면서 성장한다. 
또한 주철을 600ºC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과 냉각을 반복하면 부피가 증가하여 파열되는데, 이 현상을 주철의 성장이라고 한다.





48. 
강을 동일한 조건에서 담금질할 경우 ‘질량효과(Mass Effect)가 적다.’의 가장 적합한 의미는?

① 냉간처리가 잘된다.

② 담금질 효과가 적다.

③ 열처리 효과가 잘된다.

④ 경화능이 적다.

정답
③ 열처리 효과가 잘된다.

해설.
질량효과란 강의 질량의 크기에 따라 열처리 효과가 달라진다는 것으로 질량효과가 적으면 열처리 효과가 크고, 질량효과가 크면 열처리 효과는 작다.





49. 
다음 중 강괴를 용강의 탈산정도에 따라 분류할 때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킬드강

② 석출강

③ 림드강

④ 세미킬드강

정답
② 석출강

해설.
강괴의 탈산정도에 따른 분류에는 킬드강, 세미킬드강, 림드강, 캡트강이 있다.





50. 
다음 중 순철의 동소체가 아닌 것은?

① 𝛼철

② 𝛽철

③ 𝛾철

④ 𝛿철

정답
② 𝛽철

해설.
동소체란 같은 원소로 되어 있으나 온도나 압력 등 조건에 따라 성질이 달라지는 물질을 말하는데 그 대표적인 물질로는 물과 철(Fe)이 있다.

• 물의 동소체 : 얼음, 물, 수증기
• 철의 동소체 : 𝛼철, 𝛾철, 𝛿철





51. 
도면을 그리기 위하여 도면에 설정하는 양식에 대하여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① 윤곽선 : 도면으로 사용된 용지의 안쪽에 그려진 내용을 확실히 구분되도록 하기 위함

② 도면의 구역 : 도면을 축소 또는 확대했을 경우, 그 정도를 알기 위함

③ 표제란 : 도면 관리에 필요한 사항과 도면 내용에 관한 중요한 사항을 정리하여 기입하기 위함

④ 중심 마크 : 완성된 도면을 영구적으로 보관하기 위하여 도면을 마이크로필름을 사용하여 사진 촬영을 하거나 복사하고자 할 때 도면의 위치를 알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표시하기 위함

정답
② 도면의 구역 : 도면을 축소 또는 확대했을 경우, 그 정도를 알기 위함

해설.
비교눈금은 도면을 축소하거나 확대했을 경우 그 정도를 알기 위해 도면 아래쪽의 중앙 부분에 10mm 간격의 눈금을 굵은 실선으로 그려놓은 것이다.





52. 
나사의 감김 방향의 지시 방법 중 틀린 것은?

① 오른나사는 일반적으로 감김 방향을 지시하지 않는다.

② 왼나사는 나사의 호칭 방법에 약호 “LH”를 추가하여 표시한다.

③ 동일 부품에 오른나사와 왼나사가 있을 때는 왼나사에만 약호 “LH”를 추가한다.

④ 오른나사는 필요하면 나사의 호칭 방법에 약호 “RH”를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정답
③ 동일 부품에 오른나사와 왼나사가 있을 때는 왼나사에만 약호 “LH”를 추가한다.

해설.
나사의 감김 방향이 왼나사(LH)와 오른나사(RH)인 경우 각각 모두 표시한다.





53. 
바퀴의 암이나 림, 축, 훅 등을 나타낼 때 주로 사용하는 단면도로서, 단면의 일부를 90º 회전하여 나타낸 단면도는?

① 부분 단면도

② 회전도시 단면도

③ 계단 단면도

④ 곡면 단면도

정답
② 회전도시 단면도

해설.
회전도시 단면도는 핸들이나 벨트 풀리, 바퀴의 암, 리브, 축, 형강 등의 단면의 모양을 90º로 회전시켜 투상도의 안이나 밖에 그리는 단면도법이다.





54. 
가상선의 용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인접부분을 참고로 표시할 때

② 공구, 지그 등의 위치를 참고로 나타낼 때

③ 대상물이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낼 때

④ 가공 전 또는 가공 후의 모양을 나타낼 때

정답
③ 대상물이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낼 때

해설.
도면에서 대상물이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낼 때는 숨은선인 점선을 사용한다.





55. 
용접부의 표면 형상 중 끝단부를 매끄럽게 가공하는 보조 기호는?









정답



해설.
기호 설명

①번 기호는 용접부의 표면 모양이 편평함을 나타낸다.
②번 기호는 용접부의 표면 모양이 볼록함을 나타낸다.
③번 기호는 용접부의 표면 모양이 오목함을 나타낸다.
④번 기호는 끝단부의 토(용접 모재와 용접표면이 만나는 부위)를 매끄럽게 함을 나타낸다.





56.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화살표 쪽에 용접

② 화살표 반대쪽에 용접

③ 원둘레 용접

④ 양면 용접

정답
② 화살표 반대쪽에 용접

해설.
실선 위에 V표시가 있으면 화살표 쪽에 용접하고, 점선 위에 V표시가 있으면 화살표 반대쪽에 용접한다.





57. 
배관의 끝부분 도시기호가 그림과 같을 경우 a와 b의 명칭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a – 블라인더 플랜지, b – 나사식 캡

② a – 나사박음식 캡, b – 용접식 캡

③ a – 나사박음식 캡, b – 블라인더 플랜지

④ a – 블라인더 플랜지, b – 용접식 캡

정답
④ a – 블라인더 플랜지, b – 용접식 캡





58. 
용접 기본기호 중 서페이싱 용접 기호로 맞는 것은?









정답







59. 
다음 중 단독형체로 적용되는 기하공차로만 짝지어진 것은?

① 평면도, 진원도

② 진직도, 직각도

③ 평행도, 경사도

④ 위치도, 대칭도

정답
① 평면도, 진원도

해설.
단독형체를 갖는 기하공차는 모양공차에 해당되는 평면도와 진원도이다.





60. 
삼각 기둥, 사각 기둥 등과 같은 각 기둥 및 원기둥을 평행하게 펼치는 전개 방법의 종류는?

① 삼각형을 이용한 전개도법

② 평행선을 이용한 전개도법

③ 방사선을 이용한 전개도법

④ 사다리꼴을 이용한 전개도법

정답
② 평행선을 이용한 전개도법

해설.
각 기둥의 전개에 가장 적합한 전개도법은 평행선법이다




반응형